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 근린지역 식품환경의 접근성 변화와 식품사막 현상 분석 : 저소득 고령자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ccessibility Changes to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and Food Desert Phenomenon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High-density Areas of Low-income Older Adult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02
19P 미리보기
서울시 근린지역 식품환경의 접근성 변화와 식품사막 현상 분석 : 저소득 고령자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계획 / 56권 / 1호 / 137 ~ 155페이지
    · 저자명 : 성태경, 이수기

    초록

    최근 우리나라와 도시구조가 흡사한 일본에서는 저소득층 고령자들이 식료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이른바 식품사막(Food desert)현상이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Kurotani et al., 2020). 이는 고령화와 더불어 근린의 식품환경에 변화가생기면서 근린단위의 신선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슈퍼마켓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Iwama et al., 2009). 청·장년들과 비교했을 때 노인들은 상대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여 보행활동 능력이 떨어지며, 보행 능력의 저하는 이동성의 저하로 연결된다. 특히 이동성의 저하는 기초생활에 필요한 식료품 구매에 제한을 가져와노인들을 기본적인 권리를 향유하지 못하는 사회적 배제의 예시로 전락하게 만든다(Choi and Suzuki, 2012; 이누리, 2017).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나라보다 앞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일본은 노인들의 식품환경에 대한 연구(Iwama et al., 2009; Choi and Suzuki, 2012; Choi and Suzuki, 2013; Nakamura et al., 2017; Tani et al., 2018; Kurotani et al., 2020)가 학계 차원에서 다각도로 고찰되고 있지만, 인구 고령화 문제가 갈수록심각해지는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집계구와 행정동 단위에서 슈퍼마켓, 할인매장, 전통시장, 편의점 등을 중심으로 식품환경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한다. 나아가 이러한 식품환경의 변화로 인한 잠재적 식품사막지역이 고령자 밀집 지역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고 저소득층 고령자의 식품환경 개선을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In several stud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 and the correspond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ave been analyzed. Consequently, certain areas termed “food deserts” that have poor accessibility to healthy foods have been identified. Majority of the studies regarding food deserts have been conducted for cities located in Western countrie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ood deserts in Asian mega cities such as Seoul, wherein the food industries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The low-income older populations have limited mobility and purchasing capability, and their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s can thus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tructural changes associated with the food industries. H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accessibility to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s and examine the food desert phenomenon in Seoul, Korea. This study incorporate the micro-level data of the food environments during 2015 to 2020 and employs the urban network analysis toolbox.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local supermarkets are being discontinued, and the number of convenience stores has drastically increased. The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severity of the food desert phenomenon is gradually increasing for the low-income older population in Seoul. In particular, the food desert phenomenon is severe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and in certain inner-city neighborhoods where the low-income older population is primarily locat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improve the neighborhood food environments for the low-income older population in Seoul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