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와카(和歌)의 한국어역에 있어서 대구(對句)의 번역 ― 『만요슈(万葉集)』의 장가(長歌)를 중심으로 ― (The Antithesis in the Korean Translation of Waka: Mainly on Chouka of Manyoushu)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7.08
19P 미리보기
와카(和歌)의 한국어역에 있어서 대구(對句)의 번역 ― 『만요슈(万葉集)』의 장가(長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12호 / 181 ~ 199페이지
    · 저자명 : 박일호

    초록

    대구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나란히 진행하는 문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등가의 요소를 공유하는 구조’라고 할 때에 그 등가의 요소는 각 언어마다 다른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통사적 요소와 운율적 요소의 측면에서 각각의 언어는 자신들의 특성을 구현하고 있다. 한국어는 일본어와 통사구조가 유사하지만, 중국어나 서구어와는 다르다. 그리고 한국어는 일본어와 운율구조에 있어서 유사한 면도 있지만 다른 면도 많고, 중국어나 서구어와는 크게 다르다. 따라서 대구에 있어서도 언어에 따라 이러한 요소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번역의 과정에서 그대로 옮겨지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통사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대구의 번역에 있어서도 통사적 요소는 잃는 것이 적으리라 예상된다.
    이러한 말의 대응 형식은 등가의 의미만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관념성을 물질성으로 치환해 놓는 기능을 가진다. 장가의 5・7음의 나열은 마치 무색투명한 말의 나열과 같다고 할 수 있는데, 대구가 도입됨으로써 색채를 가진 말로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른바 언어의 물질화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수용자는 대구로 되어 있는 표현을 접하며 바로 의미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물질처럼 지각을 통해 감각하고 이미지의 무게를 느끼게 된다. 통사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언어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대구가 통사적 요소를 잃지 않고, 의미의 등가로 대응하는 구조로 정확히 번역될 수 있다.
    그런데 대응하는 구조에 통사적인 요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운율적 요소가 있어서, 이 요소는 번역을 어렵게 한다. 일본 시가의 경우 압운은 운율적 대응구조를 만드는 요소로서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고, 음절의 강약, 음의 고저, 음의 장단이라는 요소의 등가 또한 없다. 이 점은 한국 시가와도 공통되는 특성이다. 그러나 음수율의 등가와 동일음 또는 유사음의 등가 등은 대구 구성에 효율적인 요소로 활용된다. 이 중에서 동일음 또는 유사음의 등가에 근거한 운율적 대응구조는 일본시가의 대구에서만큼은 의미의 대응과 함께 압운 방식을 원용하여 대구의 구성을 보다 긴밀하고 완전하게 만드는 방법으로서 활용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번역에서 의미의 대응구조는 중시하나 운율의 대응구조는 놓치기 쉽다.
    대구에 있어서 음성의 대응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이미지로 연결되기도 하고 단절되기도 하며 이른바 운율적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그래서 대구의 운율적 움직임은 단지 소리의 호응에 머물지 않고 심정의 움직임에 이어진다. 또한 운율적 일탈에 의해 서정을 새롭게 획득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들이 대구에 있어서 음성의 대응구조에 특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의미의 대응구조와 통사의 대응구조 뿐만 아니라 운율의 대응구조도 함께 주목하여 번역할 때에 시의 수사적 의도가 바르게 전달된다.

    영어초록

    The arrangement in the fifth and seventh sound of Waka is similar to the colorless and transparent characteristic in words but it can have a kind of decorative effect by introducing the antithesis. It can be what is known as the materialization of language. Readers can not receive the meaning as soon as they hear an expression of antithesis but can watch and feel the weight of a visual image as though it were a sort of substance. Accordingly, the antithesis can be correctly translated into the structure corresponding with equivalence in meaning without losing the syntactical elements because language is likely to have a syntactically similar structure.
    However, there is a rhythmic element in the corresponding structure besides the syntactic element and it makes the translation work very difficult. In Japanese poetry rhythm is not that effective for creating a rhythmically corresponding structure and there is no equivalence in the elements such as accentuating a syllable, pitch, and beat of sound, either. This is highly similar to Korean poetry.
    However, equivalences such as a syllabic meter, tautosyllabic, or assonant are effectively used in the composition of an antithesis. Especially, a rhythmically corresponding structure based on the equivalence of an assonant is not a universal style in Japanese poetry but is being used as a way of making the composition of antithesis much more complete and, simultaneously, more well organized.
    The phonetic correspondence in an antithesis can form a so-called rhythmic movement over time, producing connected or disconnected images. Thus, the rhythmic movement of an antithesis is not intended to receive the response of sound but leads to the movement of feelings.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rresponding structure of sound in an antithesis. The rhetorical intention of a poem can be properly conveyed when we observe the rhythmically corresponding structure in translation besides the semantic and syntactic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