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시가화지역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도시성장관리계획 도입과 성장관리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Introducing Urban Growth Management Plan and Growth Management Zone Aiming at Planned Development of Non-urbanized Area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3.04
9P 미리보기
비시가화지역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도시성장관리계획 도입과 성장관리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계획 / 48권 / 2호 / 249 ~ 257페이지
    · 저자명 : 박세훈, 이경주, 전성연

    초록

    ‘선계획 후개발’을 모토로 「국토의 이용 및 계획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2003)이 제정된 지 10년이 되었다. 국토계획법 제정 당시 가장 큰 현안은 비시가화지역에 만연하고 있는 난개발1) 현상을 어떻게 제어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난개발을 제어하기 위해 국토계획법에서는 도시계획 수립의 공간적 범위를 비도시지역까지 확대하고, 개발행위허가제를 비도시지역에 확대적용하였으며, 제2종 지구단위계획제도(2012.4. 제1종과 2종이 통합됨)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였다. 또한 이후 개발행위허가의 제도적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접개발제한제도, 기반시설 정비를 위한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등도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난개발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개발압력이 높은 경기도와 지방대도시권에는 아직도 적절한 기반시설 없이 주택과 소매점, 공장, 물류시설 등이 들어서서 경관을 헤치고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게다가 난개발을 방지하고자 도입된 제도가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을 가져와 또 다른 문제를 낳고 있다.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는 실효를 거두지 못한 채로 정책 내용만 수차례 바뀌어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연접개발제한제도는 오히려 산재된 개발을 부추기는 역효과를 가져와 2010년 8월 폐지된 바 있다.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들이 목적하는 바를 달성하기는커녕 오히려 추가적인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해 온 바와 같이(이양재 외, 2009; 박세훈 외, 2011; 김태경, 2007; 문채, 2003), 비시가화지역의 토지이용규제가 지나치게 느슨하다는 데에 있다. 우리나라의 토지이용규제는 용도지역제와 건축자유의 철학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용도지역제는 특정 용도의 토지에 대해 건축물의 용도와 밀도를 규제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하지 않는 한 모든 형태의 토지개발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논리적으로는 서울 근교의 토지와 강원도 산골의 토지가 같은 용도지역이라면 동일한 형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획일적인 규제로 다변화하는 개발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을 것이다.
    서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도시성장관리(urban growth management) 기법을 활용해 왔다. 특히 우리와 유사한 용도지역제와 건축자유의 철학을 가지고 있는 미국은 최근 도시성장관리제도를 통하여 무분별한 도시확산(urban sprawl)을 제어하고 집약적인 토지이용을 도모하고 있다(조철주, 2006; 조재성, 2010). 도시성장관리에는 매우 다양한 정책수단이 있지만 핵심적인 것은 ‘성장관리지역(urban growth zone)’을 설정하고 그 경계 내에서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반시설공급에 있어서 효율을 기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개발되지 않는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존할 수 있다.

    영어초록

    Despite a decade-long effort to curb sprawling developments, such practices are chronically persistent, causing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o the major metropolitan areas in Korea.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issues have repeatedly placed emphasis on the need to introduce the 'plan-oriented' development regulation, particularly an 'urban growth management tool' as an ultimate solution. Yet, rarely discussed so far has been how and what in details the planning tool should be introduced, and what kinds of hurdles are to the successful installation of the new system. Against the backdrop, the pap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development control policy, tries to clarify 'urban growth management plan' and 'growth management zone' as key components of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y to be installed. After briefing the background of problems and the need for policy reform, the paper will discuss what 'urban growth management plan' should be and how to introduce it in the current planning system. In addition, the technical issues will be dealt over how to demarcate 'growth management zone' by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and apply it into Anseong city, Gyeonggi province. In conclusion, the paper suggests the future policy directions for the planned development of non-urbanized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토계획”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