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산시 주거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범죄예방환경설계에서 주민의 활동성 강화 사례 연구 (Case Study on Effects of the Residents’ Activity Support in the Cultural Properties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in Asan City Residential Ar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0.05
33P 미리보기
아산시 주거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범죄예방환경설계에서 주민의 활동성 강화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문화연구 / 25호 / 207 ~ 239페이지
    · 저자명 : 강정식, 김충식

    초록

    문화재 환경에 대해서는 원형 보존과 보호가 중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이 강하다. 이로 인해 문화재 CPTED에서는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감시강화, 대상물 강화보다 주민참여를 통한 활동성 강화 방안은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다. 많은 부동산 문화재가 주민들이 활동하는 주거지역에 인접해있다. 그러므로 문화재 CPTED에서 주민의 활동성 강화에 대해서도 재조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재 CPTED에서 주민의 활동성 강화원리의 적용 가능성과 요소를 살펴보았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서 아산시의 부동산 문화재에 대한 정비계획 및 사업 자료를 검토하여 CPTED에서 활동성 강화원리의 도입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의 활동성 강화 원리는 문화재 CPTED에서도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음을 밝혔다. 문화재의 영역성 확보와 접근통제가 중요하지만, 외부에 있는 것들은 자연적 감시가 가장 중요하다. 또한, 다수의 문화재가 공공재이며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장소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둘째, 정비계획수립단계에서는 주민과 소유주의 참여와 의견수렴이 이루어질 때 활동성 강화 요소를 발견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형조절, 수목 이식, 경계 시설 제거 또는 완화, 운동시설과 휴게시설의 적절한 설치 등이 주민의 활동성을 높여서 자연적 감시 효과를 강화하는 요소임을 찾았다.
    넷째, 문화재의 일상관리를 주민이 소속된 마을회에 위탁함으로써 주인의식과 연대감을 상승시키는 것이 활동성 강화로 작동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민이 관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지방자치단체가 지속해서 협의하고 소 통하는 체제를 유지하는 것도 문화재 CPTED의 활동성 강화 요소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활동성 강화 요소는 인구와 건물의 밀도가 낮은 지역에 있는 부동산 문화재를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재 정비나 CPTED의 지침을 제도적으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주거지역, 부동산 문화재의 재료와 형상, 소유자, 주민구성, 관리단체 등의 유형에 따라 활동성 강화의 요소와 도입 효과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Lots of immovable cultural properties are adjacent to a residential area. Thus, in CP-CPTED, it is necessary to shed new light on the residents’ activity support as wel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and design elements of the residents’ activity support principle in CP-CPTED. For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plan for the maintenance of immovable cultural assets in Asan and business material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activity support principle in CP-CPTED.
    The main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residents’ activity support principle can operate in the same way in CP-CPTED as well. This is because cultural properties are used by the public and located in the places that the residents frequently use. Also, this is because access to cultural properties is controlled through securing territoriality, and natural surveillance is a very important element.
    Second, the step of setting up a plan for maintenance is effective in discovering the activity support elements when collect the opinions of residents and owners.
    Third, it was found that topography control, transplantation of trees, the removal or alleviation of security facility, and the appropriate installation of exercise facilities and rest facilities are design elements that increase the residents’ activity by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surveillanc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of ownership and solidarity by commissioning the maintenance of cultural propertie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maintenance of a system for the continuous consult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o that the residents can be interested and feel pride as an element for the activity support of CP-CPTED.
    The activity support elements dealt with in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with the immova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areas with low densities of populations and buildings. To prepare the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of cultural assets or CPTED systematically, an empirical study is needed on the design elements of activity support and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materials and types of cultural properties, owners, resident composition,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