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아친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과 공동육아 환경 인식 연구 - 도시 저층주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ldcare-Friendly Neighborhood-Type Urban Regeneration and Cooperative Childcare Environment - Focusing on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5.04
12P 미리보기
육아친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과 공동육아 환경 인식 연구  - 도시 저층주거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27권 / 2호 / 81 ~ 92페이지
    · 저자명 : 박성준

    초록

    도시 저층주거지역에서 육아 환경을 조성하고 개선하기 위해 ‘육아친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과 지역사회 기반의 ‘공동육아’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층주거지역에서 육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육아친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을 활성화하고 ‘공동육아’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도시 저층주거지역 육아부모들은 단순한 돌봄 지원을 넘어 경제적 부담 완화, 정보 습득, 사회적 교류 확대의 필요하다. 둘째, 육아 부모들은 ‘육아친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과 ‘공동육아’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연령별 맞춤형 지원 정책과 부모 간 교류 활성화가를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공동육아 활성화를 위해 교육·체험 프로그램, 공공시설과의 연계, 커뮤니티 센터 구축 등이 필수적이며, 실내놀이시설과 체육시설과의 연계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정부 및 지자체는 육아지원 시설 확보, 공공 공간 활용, 재정 지원, 협동조합 운영 활성화 등 지속 가능한 공동육아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 저층주거지역에서 ‘육아친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과 ‘공동육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 연령별 맞춤형 육아 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Ensuring a supportive childcare environment in urban low-rise residential areas requires the integration of childcare-friendly neighborhood-type urban regeneration and community-based cooperative childca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strategic approaches to enhance cooperative childcare systems and foste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Employing a mixed-methods approach of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analysis, the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childcare provision in these areas must extend beyond basic support to include economic burden reduction, access to childcare information, and the promotion of parental social networks. Second, tailored policy frameworks that address age-specific childcare needs and facilitate parental engagement are essential. Thir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childcare necessitate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nd experiential programs, integration with public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dedicated community spaces, including play and sports areas. Fourth, sustained government and municipal support are imperative for securing childcare infrastructure, optimizing public space utilization, ensuring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fostering cooperative childcare initiativ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n childcare-friendly urban regeneration by offering policy recommendations and practical measures to cultivate a sustainable and inclusive cooperative childcare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