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토기유물군의 성격 : 물질적 변이·기술·생산조직의 상관성 (Characterization of the Ceramic Production in Early Historical Period of South Kore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3.02
37P 미리보기
중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토기유물군의 성격 : 물질적 변이·기술·생산조직의 상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3권 / 64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희근, 이성주

    초록

    이 논문은 중서부지역 3~4세기 토기유물군에 대한 분석적 연구이다. 이 시기 동안 중서부지역의 토기유물군에서는 경질무문토기 옹과 발에 물레질-타날법이 적용되기 시작하여 옹, 발, 호, 시루, 완, 자배기 등 실용토기 전 기종이 타날문토기로 전환되어 갔다. 이후 이 시기 말에는 한성백제 중심지의 기종과 기술체계가 토착 도공과 생산조직에 수용되는 변화도 진행되었다. 그동안 이 지역의 토기 연구는 거의 고분 출토 자료에 한정되어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 시기의 분묘 부장 토기는 기종 구성이 단순하고 기종의 점유 비율도 실용토기의 사용 비중과는 동떨어져 있다. 특히 3~4세기 분묘에 부장된 토기유물군은 실용토기 가운데 극히 일부 기종, 즉 발과 타날문단경호, 그중 정해진 아기종만 선택되어 부장되었다. 앞서 말한 기술체계와 생산체계의 변동을 설명하려면 일정 사회에서 생산 및 소비된 토기유물군의 총체를 분석해야 한다. 그동안 중서부지역에서는 이 시기 취락유적에 대한 조사가 극히 미진하여 자료가 확보되어 있지 않았으나 최근 청주 송절동 테크노폴리스 조성부지 유적의 발굴로 자료 공백의 문제가 해소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원저단경호의 공시적-통시적 변이를 분석하여 작업연쇄의 분화와 같은 기술체계의 발전을 통해 그릇의 대, 중, 소 규격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으며, 취락에서 실용토기의 기종 및 아기종의 분화가 진행됨에도 매장의례에서의 기종 선택은 전통성을 유지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질무문토기 발에서 타날문 발로 전환되어 가는 과정에서 작업연쇄의 다양성을 비교해 본 결과 이와 같은 기술혁신은 취락 단위의 소규모 생산조직에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nchronic-diachronic formal variation of the ceramic assemblage, the forming Chaîne Opératoire, and the craft-specialization of ceramic production. For this study, the ceramic assemblage excavated from burials and settlements in the Mid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3rd to 4th centuries was analyzed. By the 3rd century AD, most of the utilitarian vessels used in settlements were produced by traditional forming methods, but only to the production of globular jar, the new forming procedure, wheel-turning and paddling techniques were applied. This ceramic technology had been already introduced from Northeastern China during the previous period., and the technology was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only several classes of vessels in the Midwest until the early 4th century. Production by this new technology has been thought to have been organized separately from the traditional. In addition,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have been carried out by producing traditional utilitarian wares in the new technology-based workshops. However, through analyz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 and the forming traces on the pottery surfac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early 4th century occurred in traditional workshops at the village level, in which the potter who had produce utilitarian wares based on the traditional techniques tried to acquire the new forming Chaîne Opératoire and embodied it to him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