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사회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표현권 주체의 문제 - 전자역감시를 중심으로 - (The Main Body of The Right of Expression in Digital Society - A Functional Analysis of Electronic Synopticon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0.06
25P 미리보기
디지털사회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표현권 주체의 문제 - 전자역감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1권 / 2호 / 193 ~ 217페이지
    · 저자명 : 이동훈

    초록

    표현의 자유의 3면 관계는 국가, 언론매체, 국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표현의 자유의 3면 관계의 당사자들인 국가권력, 언론매체, 국민 중에서 누가 표현권의 주체인가? 통상적으로 국가는 언론을 통제하고 검열하는 지위에 있으므로 표현권의 객체이고 언론매체와 국민은 표현권의 주체가 된다. 이는 아날로그 사회나 디지털 사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디지털사회에서는 과거의 소극적인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 정부에 대해서 언론매체나 국민의 적극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며, 그 방법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정부의 조장 또는 촉진의 방법이나 정부 언론에 대한 정보에 적극적으로 알권리나 액세스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문제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정부의 조장 또는 촉진의 방법이나 정부언론의 폐해로서 디지털사회에서는 국가가 정보 통제를 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국가의 정보통제 조작은 다양한 사상의 대립과 알력이 있는 디지털사회에서 특정한 사상만을 강요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정부언론의 폐단은 디지털사회에서 정보유통수단이 발전하면 할수록 개인은 정보수집에서부터 정부언론에 의해 조작된 정보를 얻게 될 가능성이 농후하고, 정보수집에서부터 개인은 이미 자유롭지 못한 정보제약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처럼 정부의 조장․촉진이나 정부언론은 표현권의 향유 주체가 아니라 국가권력에 의한 정보통제 조작 체제를 의미할 뿐이다.
    원래 자유는 강자(국가)에 대한 약자(언론매체와 국민)의 자유일 때 의미가 있고 보장될 가치가 있는 것이지, 강자의 자유는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과 국가 사이의 관계는 국민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에만 정치적 쟁점으로 될 수 있다. 즉 정치적 자유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은 종속하는 자(약자)는 권력의 객체(국가)의 권력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표현의 자유는 국가권력(강자)을 객체로 삼아 성립하고, 국가권력에 종속되는 약자인 언론매체와 국민이 표현의 자유를 누리는 주체가 된다.

    영어초록

    In the digital society,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nd interchange of information by netizens' internet, and the soci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m show a new approach to the power of electronic synopticon. As a result of this, a new relationship of power is made. Men making this relationship of power are the people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the state or mass media. They are passive accepters who do not have any chance or little chance to express their opinion in newspapers or media.
    Since the boundary between newspapers and media disappears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digital media which combine letter, sound and image come out. These passive accepters can actively state their ideas or opinions through personal media revolution, where multi-media and multi-channel of digital media take over a newspaper editing and broadcast programming to the accepters (readers and televiewers).
    Nevertheless, men who design and manage the electronic panopticon in our society are the intellectual elites who hold a power network. These intellectual elites are the main body of control in the system of electronic synopticon, and watch people as the invisible existence. So most of the controled people lie in the rim of power network, and are in a position of passive accepter.
    After a series of personal media revolution, this relationship is changed in a gradual way. Since the phenomena of network power movement takes place, it becomes the bilateral relationship where the media control and affect each other.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he shift to multi-media or multi-channel of digital media, it changes to the bilateral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