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와 강희제의 ‘주역제왕학’ 비교연구:『日講易經解義』와 『經史講義.易』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King's Learning in the Zhou-yi between Jeong-Jo and Kang-xi:With the Rijiang-Yijing-Jieyi and Yi in the KyoungSa-KangYi as the central subjec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08
33P 미리보기
정조와 강희제의 ‘주역제왕학’ 비교연구:『日講易經解義』와 『經史講義.易』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85호 / 303 ~ 335페이지
    · 저자명 : 박영우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정조의 『經史講義‧易』과 청대 강희제가 친히 강술한 『日講易經解義』를 중심으로, 이 두 저서에서 드러난 ‘왕심’구조를 비교대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융합적으로 제왕학을 재구축하는 것이다. 제왕학의 이러한 재구축은 이 두 가지 ‘주역제왕학’에서 보이는 帝王之心의 同異, 즉 ‘왕심’의 내적 구조를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주역』에서는 ‘왕심’이 ‘천하심’으로 현현한다. 「繫辭上」에서는 “聖人以通天下之志,以定天下之業,以斷天下之疑”로 구체화되었으며, 이는 ‘왕심스키마’의 구조가 표현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표준에 기초하여 두 제왕의 ‘왕심스키마’가 함축한 내재적 특징을 비교한다.
    현대 마음철학과 인지은유학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사람의 마음체계는 ‘자아동일성’ (personal identity) 이론 혹은 ‘개념스키마’ 이론에 의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바로 ‘왕심스키마’ 개념에 의거하여 ‘일인칭시점’에서 구축되는 제왕학, 혹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제왕학이 가능함을 논증한다.
    필자는 『주역』의 8괘와 64괘, 즉 384효의 구조가 ‘이미지 스키마’와 ‘개념도식’이론이 제시하는 ‘은유적 투사’와 ‘유비추론’ 등의 심적 기제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보며, 治統과 道統 모두를 한 몸에 실현하고자 했던 정조와 강희제, 이 두 제왕의 ‘자아동일성’ 체계가 이러한 마음의 ‘스키마’ 기제들에 의해서 ‘君師’라는 ‘왕심스키마’를 형성하였다고 본다.
    두 제왕의 도통과 치통의 결합이라는 역사적 임무는 ‘군사’라는 개념 속에서 통합된 주체성으로 완성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송대의 주희가 제시한 도통과 치통의 통합이 분리된 주체성을 통해 추구되는 형태였던 것과는 구별되는 형태라는 점도 아울러 밝혔다.
    최종적으로 『日講易經解義』와 『經史講義•易』에서 각각 천명된 ‘中正’ 개념의 비교와 분석을 통해, 두 제왕의 왕심스키마가 ‘군사’ 형태로 완성되었으며, 또 그것을 밑받침하는 철학적 근거가 ‘중정’ 개념의 해석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comparatively examined Gyungsa-Gangyi/Yi (經史講義/易), which was written by king Jeongjo of Josun dynasty, and Rijiang-Yijing-jieyi(日講易經解義) which by emperor Kangxi of Qing dynasty. In this research, I am going to reconstruct a set of Diwang's learning by means of a methodological comparison between both kings, each want to build a theoretical construction of kingly-mind. I analysis that this reconstruction of Diwang's learning be started from confirming the feature in the structure of both kingly-mind which is seen in both texts of Diwang's learning.
    In ZhouYi, kingly-mind manifested as Tian-xia Xin(天下心, the worldly-mind), namely, in the Xici(繫辭) commentary, in terms of "the saint must integrate all-pursuits of the whole world; must set at ease all-undertakings of the whole world; must dispel all-doubt of the whole world". This original phrase is considered as manifesting the structure of kingly-mind schema. And I compared the world of two kings's learning in Zhouyi by relying on this principle.
    According to contemporary philosopher of mind and cognitive-metaphorical theory, man's mind system can be sufficiently explained by a personal-identity theory or conceptual schema theory. Standing on the 'kingly-mind schema', thereby my research argued a possibility of Diwang's learning through the first person viewpoint or learning for oneself.
    I claim that Zhouyi's 8 trigrams and 64 hexagrams system, namely 384 lines's whole symbolism of Zhouyi is powerfully supported by a metaphorical projecting and analogical reasoning which schematic theory presents, whereby Jeongjo which want to actualize the 'king-teacher'(君師) and Kangxi which to actualize the rule-orthodoxy(治統) and confucian-orthodoxy(道統,or,thought-orthodoxy) in their own self personality, both had developed successfully their own's 'kingly-mind schema' qua 'king-teacher' by frame of his personal identity.
    In process of inferencing, I pointed out that historical obligation for integration of confucian-orthodoxy and ruling-orthodoxy will be completed in the concept 'king-teacher' as a form of integrated subjectivity. this feature of both Diwang differs from a separated subjectivity in Zhu-xi's theory on confucian-orthodoxy and ruling-orthodoxy.
    Finally, through comparing and analysis to the concept 'king-teacher' was manifested in Gyungsa-Gangyi/Yi and Rijiang-Yijing-jieyi respectively, I argued that both Diwang's 'kingly-mind schema' was completed as 'king-teacher', and that philosophical basis which it stand on was started from interpreting the meaning on the concept 'zhong-zheng', ie. middle and fai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