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담론으로서 페미니즘과 규범들: 남성 페미니스트 주체화에 개입하는 규범은 무엇인가? (As a Reverse Discourse, Feminism and Norms: What Norms Intervene in the Subjectification of Male Feminist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4.06
45P 미리보기
역담론으로서 페미니즘과 규범들: 남성 페미니스트 주체화에 개입하는 규범은 무엇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9권 / 2호 / 357 ~ 401페이지
    · 저자명 : 류지현

    초록

    이 글은 남성 페미니스트들의 표면적 발화와 행동 속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페미니즘의 규범을 살핀다. 페미니즘은 지배담론에 대항하는 역담론(reverse-discourse)으로서 대안적인 사유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무엇이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관점인지를 제공함으로써 옳고 그름에 대한 인식을 공유한다. 그런데 만약 페미니즘이 특정한 준거를 제공하고 있다면, 그 규범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며, 어떤 형태로 드러나는가. 연구는 트랜스 남성(FTM)을 포함한 남성 페미니스트 15명을 인터뷰함으로써 이들의 발화 속에 내재한 규범을 비판적으로 독해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남성 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 지식 생산의 주체가 아닌 ‘겸손하게’ 배우는 위치에 있음을 반복적으로 강조했으며, ‘호모소셜 균열’을 주요한 정치적 목표로 설정,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남성 권력을 ‘성찰’하며 여성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발언권을 빼앗지 않으려 주의를 기울이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때때로 꼭 필요한 발화나 정당한 문제 제기조차 자제해야 하는 딜레마를 겪기도 했다. 연구는 남성 페미니스트들의 표면적 발화로부터 ‘학습자 행동양식’과 ‘절제된 정치적 실천’, 그리고 ‘조신한 남성성 규범’이 작동하고 있음을 읽어내고,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강조해온 순응적이고 순종적인 이미지가 기계적으로 뒤집힌 채 남성 페미니스트들에게 일부 적용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narrative of male feminists within the stream of reflective feminist research, shedding light on normative factors that constrict the expansiveness of the feminist movement. Feminism operates as a reverse-discourse countering domination narratives, enabling alternative reasoning while also providing perspectives on what is rational and ethical. However, if feminism is providing a particular framework as a reverse discourse, what norms does it entail, how do they operate, and in what form do they appear? The researcher interviewed 15 male feminists, including trans men(FTM), to critically read the norms embedded in their utteran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le feminists repeatedly emphasized that they were in a position to humbly learn, not to be the primary producers of feminist knowledge; that they were setting and pursuing the disruption of homosocial bonds as a major political goal; that they were careful to reflect on male power and to respect women’s voices and not disempower them; and that they sometimes faced the dilemma of refraining from making necessary statements or even raising legitimate issues. The article reads “learner behavior”, “restrained political practice”, and “norms of modest masculinity” at work in the surface utterances of male feminists, and argues that the compliant and submissive image that patriarchy has emphasized for women is partially applied to male femin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젠더 &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