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한 일상용기의 지역성 -호남 서부지역 주거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Regionality of Everyday Pottery in Mahan -Focusing on the Excavated Items in the Resident Area in the Western Hona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06
25P 미리보기
마한 일상용기의 지역성 -호남 서부지역 주거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59권 / 144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이 글에서는 호남 서부지역 마한 주거지에서 출토된 일상용기를 분석하여 권역별 相異性과 相似性을 파악하고그 의미를 추정하고자 했다.
    권역은 자연 경계와 마한주거지의 분포를 바탕으로 총 12개소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권역별 일상용기(심발·장란형토기·이중구연호·주구토기·외파수발·유공광구호·직구장경평저호 등)를 비교·분석한 결과, 동일 기종이지만 지역에 따라 크기·형태·분포 양상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만경강 남부권, 주진천권, 영산강권 중심의 토기문화권 설정이 가능하였으며, 이들 권역 간 일상용기의 상이성은 범마한권이라는 테두리 내 독자적 지역집단의 존재를 상정케 했다.
    또한 동일 양식 토기의 분포 범위를 통해 지역 정치체들의 상호 관계를 추정해 볼 수 있었다. 토기를 비롯한 물자의 유통은 각 권역을 넘어 주변지역까지 이루어졌던 것이다. 즉, 지역 집단들은 독자적 정체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원만한 상호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판단되며, 그 범위 내에서는 토기의 원료와 제품·기술을 포함한 유·무형의 물자 이동이 활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호남 서부지역 일상용기를 통해서는 마한 54국의 정치체와 그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마한의 토기 중에서도 일상용기에 해당되는 기종들, 심발·장란형토기·주구토기 등은 기본형이 완성된 이후 커다란 변화 없이 오랜 기간 지속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서 일상용기의 지역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고, 그 차이를 보이는 영역이 마한 소국을 나눌 수 있는 또 하나의 기준이 되리라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daily used containers discovered in the Mahan settlement area located in the western Honam,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y section and presume their meanings.
    Based on the natural boundaries and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Mahan settlement area, the region was divided into 12 sec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aily used containers by each section, it was confirmed that size, shape and distribution pattern were different despite of the same type of earthenware.
    In the western Jeonbuk province centered on the Mangyung river area, many medium and large sized deep earthenwares have been found, and the categories of them are also clear by size (small, medium, and large). On the other hand, in the western Jeonnam centering on the Yeongsan river area, no clear size categories of them were found, and small and medium earthenwares are most populated. A long egg shaped earthenware (round bottom) showed regional differences in depth-the deepest in Joojincheonn section (Gochang area), and further away from this area less deep the earthenwares. The long egg shaped earthenware with no pattern was also most populated around the Hampyeong bay and Yeongsan river. A double mouth rimmed earthenware is populated across Pan-Mahan area and a typical pottery, especially populated in the Yeongsan river area. Earthenwares are categorized as (A, Ba, Bb, Bc type) by shape and bottom, and of them the double mouth rimmed type (Bb) of the round-bottom earthenware was heavily found in the Geukrahgang section of the Youngsan river while no other types of double mouth rimmed wares were found. different earthenwares are found in areas such as Gochang, Dahmyang, Hahmpyeong, and Haenam. The earthenware with a spout is also found in different areas by specific shape. In most part of western Honam, double handled wide mouth earthenware with a spout was found, but single handled, straight mouth and flat bottom earthenware with a spout showed clearly regional distribution: a straight mouth earthenware was heavily found around Geukrahk river, Jiseokcheon, Doahm bay, mid and downstread of Yungsang river, Hampyeong bay while flat bottom type around Hampyeong bay, Geukrahk river and Jiseokcheon; single handled type around the upper stream of Yungsang river and Geukrahk river. A wide mouth pottery with a hole in the body was most populated around Yungsang river and neighboring area. A tall long necked and flat bottom earthenware was mostly found around Jeonjoo and Wanjoo area, which can mean that identifiably it featured strong localism.
    In the western part of Honam, particularly around Mangyeong River, Jujincheon, and Youngsan river, pottery culture wa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outhern part of Mangyung river, Jujincheon and Yungsan river by the configuration and individual type of the Mahan’s daily used earthenwares. The differences in daily used containers between these regions led to the assumption of independent local groups of Pan-Mahan area. Each local group has a unique identity within the Mahan cultural territory while maintaining intercultural relationship, which has been reflected on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earthenware. Also, the area of same pottery suggests the local power range or two local groups in a mutually cooperate relationship.
    Also, this range can be regarded undoubtedly as the commonly shared culture band of people at the time and minimum unit for distribution of goods including earthenwares. In other words, daily used containers in the western part of Honam were mainly produced and circulated within each local territory where the transport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materials was presumably active including raw materials, products and technology of earthenware.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Mahan’s 54 political communities and their locations through the earthenwares in the western part of Honam as the basic pottery forms of Mahan’s earthenware such as deep egg-shaped earthenware with a spout had been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major changes since then. However, this study has found the regional difference and territory of daily used containers, which can be another criterion to divide Mahan’s small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