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전라도지역 고을의 재정지표 검토 : 지리지자료를 중심으로 (Review of Financial Indicators in the Counties of Jeolla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Geographic Record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5.04
49P 미리보기
조선시대 전라도지역 고을의 재정지표 검토 : 지리지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학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전북학연구 / 14권 / 83 ~ 131페이지
    · 저자명 : 김백철

    초록

    전라도는 조선시대 삼남지역 중 하나로서 불리면서 물자가 풍족한 지역으로 알려졌다. 관련하여 각종 사료에서 재정지표의 도출을 시도해보았다. 여기에서는 지리지자료를 중심으로, 연대기, 고지도, 법전류, 관부자료, 문집 등을 두루 비교해보았다. 자료작성방식의 한계로 누락되거나 자료가 실전되어 추계치를 사용한 경우가 적지 않으나 대략 추세를 가늠하는 데는 유효할 것이다.
    공식기록에 따르면, 15-18세기 호구는 최소 2만 4천에서 최대 32만으로, 인구는최소 9만 4천에서 최대 122만으로 모두 약 13배 증가하였고, 전결은 원장부 기준약 28만결에서 약 34만결로 약 1.2배 증가하였다. 이는 토지가 한정되어있어 최대개간지의 면적은 극적으로 넓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8도 중 인구는 4위에서 3위로, 전결은 3위에서 1위로 바뀌었다.
    고을의 위상도 변화하였다. 먼저 조정에서 공식적으로 부여는 읍격은 19세기초까지 단지 26%의 변동만 보였으나 경제적 지표를 대변하는 읍세는 19세기말까지66%가 변화했는데 상승지속이 56%이고 상승후 일부감소 8%였다. 이는 인구ㆍ전결의 확장과 고을 지위변동이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특히 대한제국기에는 경제적 성장을 군의 등급에 보다 직접 반영하였다.
    전라도는 광활한 평야를 지니고 있어서 농업이 일찍부터 발달하여 18세기이후전국 최다 전결을 보유하였다. 첫째 군액의 경우, 남자인구 대비 군액부담이 절반미만인 고을이 62%에 달하고 넘는 고을조차 8%에 지나지 않았다. 둘째 전세의 경우, 4-6두 사이에서 부과되었는데 초과한 경우는 8%였고, 이러한 고을조차 소출액대비 전세부담 비율은 0.9-2.1%에 불과했다. 셋째 대동의 경우, 12두를 준수하는고을은 44%이고 약간초과 14%, 과다 12%이다. 그럼에도 소출량 대비 대동비율을살펴보면 과다한 고을일지라도 2.5-3.3%에 불과하므로 많다고 보기는 어렵다. 넷째 환곡의 경우, 소출액 대비 비율은 1/10미만 44%, 1/3미만 26%로 상당히 안정적이다. 따라서 생산력증가로 인해서 민의 부담이 경감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농업생산력은 수전농업의 증가로 뒷받침되었다. 수전비중이 한전보다 높은 고을은 15세기 33%에서 18세기 95%로 높아졌다. 수전확대에 발맞추어 제언도증설되었는데, 수전ㆍ제언의 확대는 장시의 폭발적 증가와 비례하는 모습을 보였다. 생산력의 증가는 다양한 과세가 부과되더라도 실제 부담률을 현저하게 낮추는효과를 가져왔다. 여기에는 수전농법의 발달로 인한 농업·상업이 연동되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Jeolla Province was known as one of the Samnam reg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was recognized for its abundance of resources. In this regard, various historical records were examined to derive financial indicators. This study focuses on geographic records while also comparing annals, old maps, legal codes, government documents, and literary collections. Due to limitations in data compilation methods, omissions and losses of records were common, requiring the use of estimated figures in many cases. Nevertheless, these figures remain useful for identifying general trends.
    According to official records, from the 15th to the 18th century, the number of households increased approximately 13 times, ranging from a minimum of 24,000 to a maximum of 320,000, while the population grew from at least 94,000 to a maximum of 1.22 million. The total registered farmland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 times, from about 280,000 gyeol to 340,000 gyeol(結) based on primary ledgers. This limited growth in cultivated land area can be attributed to the constraints of available arable land. Among the eight provinces, Jeolla's population ranking shifted from fourth to third, while its farmland holdings moved from third to first place.
    The status of local counties also changed. The official classification of towns, which determined administrative ranks for local magistrates, experienced only a 26% change by the early 19th century. However, town’s financial capacity, calculated based on armland holdings and household numbers, an economic indicator, changed by 66% by the late 19th century—56% showed continued growth, while 8% experienced a decline after an initial increase. This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population and farmland holdings wa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 status of counties. Particularly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economic growth had a more direct impact on the classific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units.
    Jeolla Province, with its vast plains, developed agriculture early on and held the largest amount of registered farmland in the country from the 18th century onward. First, Military Service Quotas : In 62% of counties, the burden of military service quotas was less than half of the male population, and in only 8% of counties did it exceed this ratio. Second, Land Tax : The tax rate was generally between 4 and 6 du(斗), with only 8% of counties exceeding this amount. Even in these cases, the tax burden was only 0.9% to 2.1% of total output. Third, Daedong Law : About 44% of counties adhered to the standard tax of 12 du, while 14% slightly exceeded it, and 12% imposed significantly higher taxes. However, even the highest tax rates were only 2.5% to 3.3% of total agricultural output, which cannot be considered excessive. Forth, Grain Loan System : In 44% of counties, the proportion of grain loans relative to total output was below one-tenth, and in 26%, it was below one-third, indicating a relatively stable system. This suggests that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vity helped alleviate the tax burden on the general populace.
    The expansion of irrigated farming played a crucial role in enhanc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 proportion of irrigated farmland surpassing dry fields increased from 33% in the 15th century to 95% in the 18th century. In line with this expansion, more reservoirs were constructed, and this trend closely correlated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local markets. The rise in productivity mitigated the impact of various taxes, as agriculture and commerce became increasingly interconnected due to advancements in irrigated farming techniq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