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와카(和歌)의 한국어역에 있어서 중의법의 번역 (How to write and read words that contain many possible meanings in the Korean Translation of Waka)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08
19P 미리보기
와카(和歌)의 한국어역에 있어서 중의법의 번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16호 / 189 ~ 207페이지
    · 저자명 : 박일호

    초록

    와카는 형식 규모면에서 매우 작은 시이기 때문에 언어를 최대한 절제하려고 하며, 그 절제로 축소되는 외형은 중의법을 통해 의미는 확장되고 입체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와카는 리듬, 어휘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법, 특히 중의법의 기능과 의도에 주목하여 섬세하게 옮겨지지 않는다면, 그 번역의 결과물은 원작의 노래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
    ‘미타테(見立て)’는 활용되는 어휘 자체가 한국어에 없다면 그 번역은 어렵게 되겠지만, 대응하는 어휘가 존재하는 한, ‘미타테’의 번역은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물상과 물상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고 그 발견의 기쁨과 감동의 공유를 의도하는 ‘미타테’의 기능이 분명하게 작동되도록 번역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아울러 문화와 언어 환경의 차이에 의해 그 ‘관계의 발견’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에 대한 극복의 방법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모노노나(物名)’는 감춤을 특성으로 하고 있어서 감추어짐과 드러남의 낙차를 즐기며, 그 낙차의 기발함에 놀라기도 하고 감탄하기도 한다. 그런데 그러한 숨겨짐과 드러남은 그 해당 언어의 음으로만 표현이 가능하다. 대응하는 어휘의 음이 서로 다른 언어로는 ‘모노노나’ 노래 원작에 감추어진 소리와 의미를 완전히 옮겨 놓을 수 없기 때문에, 번역에 있어서 ‘모모노나’ 노래는 소리로 전해지는 시세계를 ‘드러나는 언어의 형태’로밖에 표현할 수 없는 숙명을 안고 있는 장르가 되어 버린다.
    ‘혼카도리(本歌取り)’의 번역은 수용자가 일본어를 구사하고 선행 작품의 세계와 의미를 이해하고 있다면, 방법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수용자가 일본어 사용자가 아니면서 선행 작품에 대한 지식이 없을 경우에는 ‘혼카도리’ 에 의해 시간의 경계가 무너지며 새롭게 탄생되는 세계는 전해지지 않으며, 이 기법은 아무런 시학적 의의를 가지지 못한다. 혼카도리’는 단지 표현의 전환의 문제가 아니라 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존재하는 ‘시학적 약속’을 옮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은 다른 문화권의 언어로 번역될 때에 주석을 붙이지 않으면 이해될 수 없는데, 시에 주석을 붙이는 행위는 곧 ‘해석’이기 때문에 여기에 기법 번역의 숙명적 한계가 드러난다.

    영어초록

    If a detailed translation of Waka does not retain the rhythm and main words, focusing on the function and intention of the word may have many possible meanings. The resulting translation is untruthful to the original waka.
    In the case of ‘Mitate’, if the words that are used are not found in Korean language, the translation can be difficult, whereas it can be easy as long as alternative words exist. However, the function of Mitate, which is intended to find new relations of external objects and to share the delight of the discovery, should be translated to be clearly effective in the poem.
    ‘Mononona’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defined as concealment and makes us enjoy the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revealing and concealing. Thus, we cannot help feeling amazed at the brilliance of the difference. Incidentally, the highly concealing and revealing can be expressed with only the sound of the language, because the corresponding sound of a word in another language cannot completely convey the sound and meaning hidden in the original waka‘Mononona’.
    If he or she is a Korean user and has no knowledge of the previous work, ‘Honkadori’ will never have poetic significance. It is because Honkadori performs the poetic promise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ceiver rather than changing the linguistic expression. Therefore, this skill cannot be easily understood without annotating poems when it is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