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등학생의 역사인물 이미지 형성과 변형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 사례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Historical Figures from High School Students' Preconception -Focused on the Case of Heunqseun Daewongoon and Empress Myeongseong)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07.12
49P 미리보기
고등학생의 역사인물 이미지 형성과 변형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6호 / 7 ~ 55페이지
    · 저자명 : 김민수

    초록

    교실에 앉아 역사 수업을 받는 학생들은 역사교사가 제공하는 역사지식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역사가가 사관이나 신념에 입각하여 역사를 인식하듯이 자기 인식을 바탕으로 역사를 이해한다.
    이 연구는 부신중앙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사례로 고등학생의 역사인물에 대한 선행이미지 형성과 특성에 관해 알아 본 것이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역사인물에 대한 선행이미지와 배치되는 정보를 접했을 때 보이는 사고특성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선행이미지 형성에 공식적 역사수업보다 영상매체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가진 선행이미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문명개화ㆍ자주성ㆍ개혁성 3가지의 준거를 기준으로 대원군은 부정적으로, 명성황후는 긍정적으로 가치판단 하였다. 이러한 역사인물에 대한 평가에 好惡의 정서를 결합시켰다.
    학생들의 선행이미지의 편향성, 정서와의 결합을 확인한 후 학생들의 선행이미지와 배치되는 역사정보를 제공하였다. 수업 이후 학생들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인물에 대한 정형화된 선행이미지가 분산되었지만, 학생들이 역사인물에 대해 가치판단을 할 때 나타나는 정서 반응은 이미지 변형 이후에도 확인되었다.
    역사적 사고력 수준에 따라 선행이미지를 변형시키는 유형을 정리해보았다. 연구를 위해 역사적 상상력과 역사적 판단력을 기준으로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3단계로 나누었다. 1단계는 정보를 무시한 자의적 판단을 보이는 단계인데 여기에 속하는 학생은 14명이다. 2단계는 정보의 수동적 수용과 고정관념에 의한 판단을 히는 단계로 17명이 여기에 속한다. 3단계는 맥락적 이해와 객관적 판단이 가능한 단계로 3명이 여기에 속한다. 역사인물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객관적 판단을 하는 학생의 숫자가 적은데, 역사학습이 암기위주로 진행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역사이해과정을 알기위해 역사인물 이미지 형성과 변형과정에서 보이는 사고 특성을 정리한 것으로 역사교사가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업을 설계할 때 시사점을 줄 것이다.

    영어초록

    Students in class do not always accept all the historical knowledge offered by teacher. As historians recognize histories based on their own historical view and belief, the students understand histories from their point of view.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tudents form their preconception on historical figures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by studying the case of the history class of the first year students of JungAng Girls' High School of Busan. And further investigation was for their characteristic of thinking when they experienced information that contradicts their own image on the historical figures.
    The students' preconception on historical figures had more influence on moving picture than the knowledge they learnt in school classes di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reconcep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their own criteria to make evaluation on historical figures. The three criteria for historical evaluation were cultural enlightenment, independency, and reformation. According to these criteria, the students had negative image on the King's father willie had a good image on the empre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evaluation on an historical figures was linked the students' sentiment.
    To further the study, the students were given historical information that was contradictory to their preconcep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students changed their preconception after the class. First their patterned image about the two figures split. But the students' sentiment that appeared on their evaluation of historical figures was still observed after they have changed their preconception.
    The pattern they changed their preconception is summarized according to their level of historical thinking. And the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based on historical imagination and judgement.
    The first stage is that they showed their own judgement ignoring the information, and there were 14 students in this category. The second stage is that they passively accepted the information but they still made their judgement based on their stereotyped idea, and there were 17 students in this group. And at the third stage, they were able to make understand in context of those days and objective judgement, and there were only three students in the category. So small number of students reached the level of understand in context of those days and objective judgement about what historical figures did. Because students think that they had to study history as a subject by memorizing
    The study has been to look into the students' preconceptio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about historical figures. And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of thinking appeared in their preconception on historical figures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eir preconception will give some hints for history teachers to design their history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