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정권 수립기의 검열 문제에 대하여 -'『응향』 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ensorship of early North Korean poli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12
38P 미리보기
북한 정권 수립기의 검열 문제에 대하여 -'『응향』 사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배달말 / 63호 / 431 ~ 468페이지
    · 저자명 : 오성호

    초록

    이 논문은 해방 직후 원산에서 간행된 시집 『응향』과 관련된 논란을 중심으로 북한 정권 수립기의 검열 문제를 분석한 것이다. 북한의 경우 공식적인 국가 기구에 의한 검열의 흔적을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북한에서의 검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이 제시한 상상력이 전개의 방향과 틀과 그로부터의 일탈에 대한 유형 무형의 제재라는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북한문학의 상상력이 전개되어야 할 방향은 ‘인민을 위한 문학’이란 표어 속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무엇보다 문학은 인민들을 ‘새 인간’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해야 했다. 이를 위해 북한문학은 인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따라 배울 수 있는 전범을 그려야 했다. ‘긍정적 주인공’과 그들의 영웅적 의지와 열정을 그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시집 『응향』이 문제가 되었던 것은 바로 이 인민을 위한 문학이라는 큰 방향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응향』을 비판하는 데 동원된 다양한 수식어, 즉 세기말적·퇴폐적·감상적·개인주의적이라는 수식어들은 실상 그런 경향들이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는 인민들의 의지와 열정을 훼손시킬 수 있다는 뜻을 내포한 것이었다.
    이와 함께 표현 형식과 언어에 있어 인민들의 이해하기 쉽지 않은 표현의 문제 역시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이런 표현들의 배후에 있는 사상성, 계급성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듯이 보인다. 이 점은 특히 구상의 「여명도」라는 작품에 대한 북한의 이해할 수 없는 태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구상이 소개한 대로라면 이 작품은 해방 이후의 북한 혁명과 ‘건국사상총동원’운동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반동적인 작품이라고 해야 한다. 하지만 이 작품에 대한 비판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한편으로 이 시기 북한 검열이 생각과는 달리 느슨한 것이었을 가능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구상이 소개한 「여명도」가 『응향』에 실렸던 것과는 달리 수정, 개작된 것일 가능성을 함께 시사한다.
    『응향』 사건 북한문학이 지향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가를 다시 확인하는 동시에 금지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드러낸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의 언어와 표현형식에 대한 날선 비판은 이후 북한문학(시)의 발전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산문적 진술로 이루어진 시, 그리고 일체 오독의 가능성이 없는 시가 그 방향의 내용이다. 그리고 창작과정에서의 자기검열, 그리고 실질적인 검열 기구 역할을 담당한 합평회와 출판 전의 윤독(輪讀) 등을 거치면서 북한 시는 점차 당이 요구하는 내용과 표현형식에 부합하는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응향』은 문학(시)에서의 분단을 확정하는 출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candal sparked by Eunghyang, a collection of poems published right after Korea’s independence, and on the censorship that was imposed in the early years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North Korea, it is hard to trace official records of censorship. Therefore, it is better to look at how the party defines and frames the imagination and at how a work that deviates from those prescribed notions is policed (in)visibly.
    The miss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was to serve the people. More than anything else, the function of literature was to help grow and transform “the people” into “new” beings. To this end, literature had to portray archetypes that the people could easily understand and follow. A case in point is the portrayal of so-called positive protagonists and their heroic will and passion. The reason Eunghyang was considered so scandalous is that it departed from the norms of literature for the people. The poems were criticized for being decadent, sentimental, individualist, and escapist, and their publication was banned. In addition, the language was harshly criticized for its obscurity, making the poems inaccessible and incomprehensible. The underlying reason for the ban, however, was that these poems undermined the willpower and passion that were considered vital to building the new society.
    However, it seems that the underlying worldview or class background of the poets was not of central concern in these criticisms because the poets who were targeted in this incident soon returned to their desks without undergoing specific measures of “ideological training.” Moreover, the regime’s lax attitude toward Koo-sang’s Yeomyeongdo also bolsters the point that the criticism was less oriented toward fundamental issues such as ideology and worldview. If we follow Koo-sang’s description of the work, the poem is reactionary, with its outright denial of the post-independent North Korean revolution and “the total spiritual mobilization campaign for nation-building”. However, there is hardly any criticism against this poem, suggesting two possibilities: Either censorship at the time was loose, or the version of Yeomyeongdo that Ku-sang describes is different from the one published in Eunghyang. It is likely that the poem has been revised or even rewritten.
    The Eunghyang scandal revealed what is intended to be banned i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reconfirmed what the literature should aim for. The biting criticism against the language and expressions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that followed, especially the poetry. The new direction pointed to plain, prosaic statements and poetry with no possibility of misinterpretation. In addition, with self-censoring of the creative process, reading by turn before publication, and peer review sessions, which functioned as a de facto censorship organization, North Korean poetry gradually adhered to the content and form that party doctrine demanded. In this regard, Eunghyang proved to be an incident that confirmed the existence of two Koreas in the literary arena—and in particular,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달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