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사자가 인식하는 그룹홈 정체성 - 탈시설과 관련하여 - (Group home workers' perceptions about the identity of deinstitutionalization-related group hom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종사자가 인식하는 그룹홈 정체성 - 탈시설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42호 / 227 ~ 255페이지
    · 저자명 : 박숙경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현장의 논쟁적 이슈의 하나인 ‘탈시설과 관련하여 그룹홈의 정체성을 어떻게 볼 것인지’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핵심적인연구질문은 종사자들이 그룹홈을 시설 또는 탈시설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시설과 탈시설적 특성은 각각 무엇이고, 시설과 탈시설 사이의 혼란을 일으키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그룹홈 종사자 58인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5인은 시설, 23인은 탈시설로 보고 있었다. 시설로 보는 이유는 15개로 나타났고, 제도적 한계, 기관의 운영방식, 관련주체들의 인식 이상 3개로 범주화되었다. 탈시설로 보는 이유는 8개로 나타났고, 제도적 강점, 서비스 방식, 종사자의 탈시설과 그룹홈의 관련성 인식’ 이상 3개로 범주화되었다. 두 개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시설적 특성은 ‘훈련과보호중심의 운영목적, 1:4의 열악한 지원체계, 공동생활과 종사자 동거로 인한 자율성과 주도성 침해, 입주선택권 비(非)보장에 따른 장기입주, 대규모시설과 동일한 행정관리와 평가체계 및 예산지급방식, 이용자와 관련자들이 집으로 인식하지 않음’ 이상 6개로 압축되었다. 탈시설적 특성은 ‘가정과 같은 환경, 지역사회에서의 삶, 이용자가 일반수급자임’ 이상 3가지로 압축되었
    다. 시설과 탈시설 사이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특성은 ‘행정관리체계의 비일관성, 운영기관의 철학과 운영방식, 인식주체의 탈시설 개념’ 3가지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has been executed to explore the issue of ‘how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group home in relation with the deinstitutionalization’ which is causing controversy at welfare field of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main questions of the research have been ‘What is the reason that worker regard group home as deinstitutionalization?’,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respectively?’ and ‘What ar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which cause group home’s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institution and the deinstitutionalization?’ To find the answers for these questions, I analysed 58 group home workers’ answers by the open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35 workers regarded them as institution, 23 workers regarded them as deinstitutionalization. There found to be 15 reasons why they regard them as institution,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1. innate limitation of the political system, 2. operational way of the group home 3. people’ conception on deinstitutionalisation. There found to be 8 reasons why they regard them as deinstitutionalization,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1. the system’s merit itself, 2. different way of service, 3. workers’ understandings of group homes’ relation with deinstitutionalization. By comparison of two analysi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 has been focused into: ‘1. training/protection oriented operation. 2. 1:4의 lousy support system, 3. infringement of self-regulation and initiative by communal life and living together with worker, 4. long-term living because of no choice, 5. the same management and estimation system and budget supply, 6. the fact that the users and related people don’t regard it as ho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has been focused into: ‘1. homely environment, 2. living in the community, 3. the users are general beneficinary. The characteristics that caused identity confusion between the institution and deinstitutionalization was 1. inconsistency in administry manegement system 2. philosophy and the way the operating agency is run, 3. persons’ understandings of deinstitution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