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성공신화’의 역설: 기만당한 세대들의 기원에 대하여 (The Paradox of ‘the Myth of Education for Social Mobility’: On the Origin of the ‘the cheating of a generation(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0.03
37P 미리보기
‘교육성공신화’의 역설: 기만당한 세대들의 기원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25호 / 124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형준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386세대의 교육성공신화와 자녀교육경쟁의 동학을 추적함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의 교육이 처한 현실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 조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386세대의 교육성공신화의 신화적 성격을 드러내는 한편, 이들의 자녀교육경쟁이 유독 강화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또한 그것이 ‘실패’로 귀결되는 동인을 규명 하고자 했다. 이 연구의 주된 논점은 다음과 같다. 386세대의 교육성공신화는 1980년 대 후반 이후 조성된 특수한 사회경제적 조건 속에서 가능한 것이었지만, 그것이 교육 적 성취가 가져온 성공으로 환원되었다는 점에서 신화라 할 수 있다. ‘IMF 위기’ 속에 서 균열을 거쳐 갱신된 이 신화는 교육에 긴밀한 이해관계를 가지는 중간계급으로서 386세대 출현의 토대가 되는 한편,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는 통로로서 교육에 대한 사 회적 ‘믿음’을 공고화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교육경쟁 강화를 추동하면서, 사교육경쟁 이 팽창하고 교육경쟁의 계층화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그 결과로서 심화된 교육 불평 등은, 대학진학률의 급격한 상승과 노동시장의 악화된 조건 속에서 학력가치의 하락이 극대화됨에 따라, 성공적인 계층 재생산으로 귀결되지는 않았다. 보다 나은 삶을 위한 통로로서 ‘교육의 약속’이 파기되는 상황에 직면했다는 측면에서, 청년 세대와 386세대는 공히 ‘기만당한 세대’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lity of education in Korean society from the historical context by examining the myth of education for social mobility of the 386 generation and dynamics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competition. To this end, this study clarifies the ‘mythical’ nature of the success story of the 386 generation. And it identifies social causes which has strengthened their children’s education competition, and the mechanism which has led to its “failure.”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ccess of social mobility in the 386 generation was possible under the special socio-economic conditions in the late 1980s. But this has reduced to the success brought by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is is why it is called “myth” in this study. This myth which cracked and renewed during the IMF crisis,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the 386 generation as a middle class with close interests in education, while solidifying social “belief” in education as a channel for a better life. As these factors accelerated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 competition, while expanding private education competition and intensifying the stratification of education competition. But education inequality did not result in successful reproduction because the value of academic credentials has dropped significantly due to sharp rises in university enrollment rates and worsening labor Both the current youth generation and the 386 generation can be regarded as ‘thecheating of a generation(s)’ in that they have faced a situation in which ‘promise of education’ as a pathway for a better life has being betray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