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회덤핑 판단 시, ‘동종상품’의 의미가 갖는 문제에 대하여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Meaning of ‘like product’ When Judging Circumvention Dump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5.03
31P 미리보기
우회덤핑 판단 시, ‘동종상품’의 의미가 갖는 문제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경제법연구 / 23권 / 1호 / 129 ~ 159페이지
    · 저자명 : 황선영

    초록

    관세문제는 무역에서 항상 논란이 되어왔던 주요 대상이지만 현재 지역 수준에서 내전과 전쟁 등의 물리적 충돌과 국제수준에서 첨단기술을 둘러싼 경쟁은 미국의 트럼프행정부 2기에서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에서 자유와 개방과는 반대의 길을 갈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자국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문하에 취하는 합법적 무역구제다. 특히 반덤핑구제 효과를 반감시키거나 훼손하는 행위로서 우회덤핑은 미국의 1974년 무역법 301조에 근거하여 중국에 대한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고관세 부과를 시행하면서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부상했다. 여기서 파악된 주요 현상은 중국의 미국에 대한 기존 반덤핑관세 대상 상품의 우회 수출이다. 특히, 멕시코를 통한 수입은 급격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관세 회피를 위해 제3국을 통한 수출에서 원산지를 변경하는 등의 일련의 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동종상품’은 우회 조사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한다. 만일 ‘동종상품’이 아닌 경우 우회 조사신청을 기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회’와 ‘동종상품’의 정의에 대한 공식적인 개념은 부재한 상태다. 반덤핑협정(Anti-Dumping Agreement, ADA) 제2조의6에 따르면 국내 ‘동종상품’을 결정하기 위해 각 조사에서 초기에 중요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동종상품인지의 결정에는 먼저 덤핑된 것으로 의심되는 수입품을 조사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동종상품’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포함된다.
    본 연구는 협정상 ‘동종상품’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는 상황에서 국내수준의 규정에서 그러한 동종성을 판단할 수밖에 없고 만일, 이러한 판단에 불만이 있을시, 국내적으로 사법구제절차를 밟거나 국제적으로 분쟁해결기구(Dispute Settlement Body, DSB)에 해석을 맡길 수밖에 없다고 보인다. 따라서 패널보고서에서 그간의 결정 내용을 종합하여 하나의 참고자료를 만들어 ‘동종상품’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정확한 ‘인식’과 ‘예측’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지금의 2025년 기준에서 WTO 주요 회원국 중, 미국을 중심으로 ‘동종상품’ 판단에 관한 규정과 사례를 살펴보아 지금에서 주요하게 보는 요소들은 무엇인지, 또한 AB의 사례 또한, 살핌으로써 과거와 비교하여 어떤 특징들이 발견되는지 비교 분석하여 의미가 있는 시사점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국, ‘동종상품’은 국내시장에서 생산되고 거래되는 것이 아닌 이상, 미묘한 차이는 ‘동종상품’으로 보는 데 허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사소한 차이를 넘어선 정도까지 ‘동종상품’으로 보는 것은 허용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점은 조사기관에 의한 해석에 제한을 둘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그간의 ‘동종상품’ 관련 판결 내용을 모아 일관성을 꾀할 수 있는 일련의 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우회덤핑의 꾸준한 발생이 불러오는 결과는 논리성의 부족과 이에 따른 이해 불가한 조사기관의 해석으로 인한 사인과의 분쟁이 국가 간 분쟁으로 크게 번질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영어초록

    Tariff issues have always been a major topic of debate in trade, but the current physical conflicts such as civil wars and wars at the local level and the competition over cutting-edge technology at the international level are increa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second term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he US will take a path opposite to freedom and openness in its policy to protect domestic industries. The problem here is the trade defence instrument taken under the express purpose of protecting domestic industries. In particular, circumvention dumping, which is an act that reduces or damages the effect of anti-dumping, has come to the surface in earnest since the US imposed high tariffs on steel and aluminum against China based on Section 301 of the Trade Act of 1974. The main phenomenon identified here is China’s circumvention export of products subject to existing anti-dumping duties to the US. In particular, imports through Mexico have increased sharply. This is because a series of measures such as changing the country of origin in exports through third countries are possible to evade tariffs.
    ‘Like products’ is a very important concept in determining circumvention investigations. If they are not ‘like products,’ the circumvention investigation application will be rejected. However, there is no official concept of ‘circumvention’ and ‘like product’ definition. According to Article 2.6 of the Anti-Dumping Agreement (ADA), an important decision must be made early in each investigation to determine domestic ‘like products’.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like products’ includes a procedure to first investigate the imported goods suspected of being dumped and confirm whether they are ‘like products’ and the domestically produced goods.
    This study shows that in the absence of a clear explanation of ‘like products’ in the agreement, such likeness can only be determined based on domestic regulations, and if there is dissatisfaction with this determination, there is no choice but to take domestic judicial remedies or leave the interpretation to the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Body (DSB).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create a single reference material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the decisions made so far in the panel report so that accurate ‘recognition’ and ‘prediction’ of what ‘like products’ are is possible.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regulations and cases regarding the judgment of ‘like products’ among the major WTO member countr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current 2025 standard, to find out what the major elements are now, and to compare and analyze what characteristics are found compared to the past by examining the AB case, and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e end, ‘like products’ should be allowed to be viewed as ‘like products’ unless they are produced and traded in the domestic market, so subtle differences should be allowed. However, it should not be allowed to view ‘like products’ beyond minor differences, and it emphasizes that a separate device is needed to limit the interpretation by the investigation agency. In other words, it seems necessary to collect the contents of the rulings related to ‘like products’ so far and achieve consistency. Otherwise, the result of the constant occurrence of circumvention dumping is that disputes between private parties due to a lack of logic and the incomprehensible interpretation of the investigation agency can easily escalate into disputes between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