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동경대 오구라문고 소장 『敬覽』에 대하여 (Research on Kyungram in Ogura Bunko, Tokyo Universi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일본 동경대 오구라문고 소장 『敬覽』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0호 / 303 ~ 338페이지
    · 저자명 : 안세현

    초록

    본고는 일본 동경대 오구라문고[小倉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敬覽』의 내용과 편찬 의도, 시문의 번역 양상 및 국어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조선후기 한글 실기류 문헌의 편찬 속에서 『경람』이 지니는 가치를 따져본 것이다.
    『경람』은 필사본 1책(103장)으로 오구라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 유일본이며, 본문은 전부 한글로 표기되어 있다. 총27편의 시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본래부터 한글로 지어진 2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한문으로 지어진 시문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한문으로 지어진 시문은 夢窩 金昌集에게 내린 숙종의 御製詩, 김창집이 신임사화 때 사사되기 직전에 지은 시문, 김창집의 동생 農巖 金昌協의 상소문과 三淵 金昌翕의 비지문, 김창집의 사돈인 丹巖 閔鎭遠의 疏箚 등이다. 김창집의 둘째 딸인 안동 김씨가 본래부터 한글로 지은 祭文과 遺書도 수록되어 있다.
    『경람』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편찬자, 편찬 시기, 편찬 의도 등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이 책에 실린 시문의 작가와 창작 시기 등을 고려해 볼 때, 김창집의 외손자이자 민진원의 손자인 閔百順이 1762~1774년 사이에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27편중에 김창집이 지은 글이 13편으로 가장 많으며, 한두 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임사화 때 사사된 김창집과 관련이 있다. 곧 『경람』은 신임사화로 대표되는 당쟁의 격랑 속에서 가문의 억울함과 정당함을 후대에 알리기 위해 편찬하였으며, 가문의 여성들에게 읽히기 위해 한글로 번역하였던 것이다.
    『경람』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면, 번역은 축자역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한문 원문 제시 없이 한글 번역문만 수록하였다. 다만 한시의 경우 시구의 독음을 한글로 함께 제시해 두었다. 이는 여성을 독자로 하는 조선시대 언해서의 일반적인 경향이다. 한편 『경람』의 국어학적 특징을 구개음화 현상과 아래아(ㆍ) 소실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같은 시기의 여타 문헌에 비해 두 가지 음운 현상이 느리게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영조 연간에 발행된 언해본 御製類와 비슷한 것으로, 『경람』을 통해 18세기 상류층의 국어사용 실태를 엿볼 수 있다.
    조선후기에는 가문의 여성들에게 조상의 행적을 알게 하기 위한 한글 실기류 문헌이 많이 편찬되었다. 『경람』도 일종의 한글 실기류 저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경람』은 단순히 조상의 행적을 집안 여성들에게 읽히기 위해서 한글로 번역한 것이 아니며, 신임사화로 사사된 김창집이라는 인물을 중심에 두고 숙종을 시작으로 경종을 거쳐 영조 연간까지 계속되었던 안동 김씨 가문의 당쟁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looked into a book named Kyungram in Ogura Bunko, Tokyo University. Especially I focused on the contents, intention, and the aspect of translation. This is related to the worth of publishing Korean linguistic history.
    This book is one and only copy, and the texts are recorded in Korean alphabet. It contains total 27 poem and prose. Only two of them are originally created in Korean, and others are translated into Korean from Chinese.
    As this book has no preface or epilogue we can’t define the exact compiler, compiling date, and intention. However, I guess this book was compiled between 1762 and 1774 by Min Baek-sun who is Kim Chang-jip’s grandson. That is because 13 of 27 articles were created by Kim Chan-jip and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the massacre of scholars occurred in 1771. Therefore, Min Baek-sun compiled this book to inform an injustice of his family to the posterity. And he translated it into Korean to get women of his family to read.
    In general, most books of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have its original version. Unlike this, it seems like Kyungram have translated into Korean without original version written in Chinese. We can guess the aspect of translation and the history of political party strife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this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