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天草版金句集』의 動詞 音便에 대하여 (Study of onbin of verb in "Amakusaban Kinkusy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4.05
20P 미리보기
『天草版金句集』의 動詞 音便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89권 / 1호 / 109 ~ 128페이지
    · 저자명 : 손진희

    초록

    室町時代後期に文語(則)·口語(心)で書かれた格言集という作品の特性を持つ『天草版金句集』における動詞の音便についての考察結果は次のようである。金句集では音便発生動詞が音便の期待される環境にある時、文語·口語ともにほとんど(91.4%)音便を起こしているが、音便率(連用形で音便形が占める割合)は53.0%で比較的低いといえる。これは金句集が格言集として文語表現を好み、主に文語的な連用中止用法を使って前後の文章を対等に並列させていることから始まったと思われる。このように金句集の格言集という作品の性格から出来たとみえる特徴には、連用中止法の多用の他にも文語文則·口語文心ともに「行ク」の文語表現である「ユク」しか使われなかった点が挙げられる。次に動詞の音便に関する特徴としては、サ行·ハ行·バ行·マ行において文体の使い分けがみえるという点が挙げられる。即ち、サ行の場合は文語文則では非音便、口語文心ではイ音便(非音便の勢力の強い「濁ス、増ス」(2例)は除く)を起こし、ハ行の場合は文語文則では促音便、口語文心ではウ音便を起こし、バ行·マ行の場合は文語文則では撥音便、口語文心ではウ音便(撥音便の勢力の強い「憎ム」(1例)は除く)を起こしているのである。さらに口語文心でのバ行·マ行は「語幹末がウ列音なる時は撥音便、アエイオ列音なる時はウ音便」を起こすといういわゆる「大塚説」とも一致している。一方、音便の一般的な下接語である「テ、タ」の他に助動詞「ツ」や禁止の「ナ~ソ」に接続する時も音便を起こしている。「ツ」には「誹ル」(1例)が接続されて並列用法「~ツ~ツ」として使われながら促音便を起こし、「ナ~ソ」には口語文心で「言フ、悲シム」(2例)が接続されながら「悲シム」はウ音便形、「言フ」は非音便形を取っている。このように音便発生動詞が音便環境にあるにもかかわらず非音便形に現れるものは全部9例があり、この中で7例がサ行であるので、サ行イ音便の非音便の傾向が目立つといえる。今後は禁止表現「ナ~ソ」の音便を研究課題とする。

    영어초록

    “Amakusaban Kinkusyu” shows most of onbin(91.4%) both in written language(soku(則))·spoken language(kokoro(心)) when onbin-creating verb is in the environmentexpecting onbin, but onbin rate is comparatively low marking 53.0%. It is thought thatthis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Kinkusyu as Maxim Collection prefers a literary-styledexpression, uses a literary discontinuous method chiefly and arranges the front sentenceand the back sentence in parallel. Thus in the property which seems to originate from thenature of the works of Maxim Collection of, besides the multiple use of a literarydiscontinuous method, it can be pointed out that only the written expression ‘yuku(ユク)’which is a written expression of ‘iku(行ク)’ was used all in written language soku·spokenlanguage kokoro.
    Next, as for the characteristic situations of verb onbin,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idiom of the distinction of the style appears in sa-column(サ行)·ha-column(ハ行)·ba-column(バ行)·ma-column(マ行). That is, in case of sa-column, soku arousesnon-onbin, kokoro i(イ) onbin, in case of ha-column, soku creates soku(促) onbin, kokorou(ウ) onbin, and in case of ba-column·ma-column, soku creates hatsu(撥) onbin, kokorou onbin. Further, ba-column·ma-column in kokoro coincides with so-called ‘Ōtsuka theory’.
    Whereas, besides ‘te(テ), ta(タ), tari(タリ)’, onbin occurs when it contacts auxiliary verb‘tsu(ツ)’ or prohibition ‘na~so(ナ~ソ)’. ‘Tsu’ is connected to ‘soshiru(誹ル)’, uses a parallelmethod ‘~tsu~tsu(~ツ~ツ)’ and creates soku onbin, and ‘na~so’ is connected to kokoro‘ifu(言フ), kanashimu(悲シム)’, ‘kanashimu’ takes u onbin style, ‘ifu’ takes non-onbinstyle. Thus onbin-occurring verb is in onbin environment but appears as non-onbin styleall in 9 examples, out of which save ‘matsu(待ツ), ifu(言フ)’, the rest of 7 examples areall sa-column, so it may be fairly said that the tendency of non-onbin of sa-column i onbinstands out.
    In future we'll take a research task of the onbin of prohibition expression ‘na~s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