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반교통방해죄의 육로의 개념에 대하여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Public Pathway” in the Offense of General Obstruction of Traffic under Article 185 of the Criminal Act)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12
40P 미리보기
일반교통방해죄의 육로의 개념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111호 / 171 ~ 210페이지
    · 저자명 : 임태규

    초록

    형법 제185조(일반교통방해죄) 소정의 육로에 대해서는 “사실상 일반 공중의 왕래에 공용되는 육상의 통로를 널리 일컫는 것으로서 그 부지의 소유관계나 통행 권리관계 또는 통행인의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는다”는 정의가 오랫동안 비판 없이 수용되어 왔다.
    이러한 육로의 개념이 과연 현실에 부합하는 것일까? 지목상 도로라거나 행정기관에 의해 도로로 지정·고시되었다면 육로로 인정하는 데에 아무런 의문이 없겠으나, 지목상 도로로 편입되지 않고 관행상 이용되어 온 통행로(현황도로)의 경우 과연 육로로 볼 수 있는지, 더 나아가 피고인이 육로가 아니라고 극구 다툴 경우 수사기관의 판단에 의하여 육로에 해당여부를 결정하고 그러한 결정이 민사법원에 영향을 주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실제 대법원까지 재판이 진행되었던 사건을 토대로 당시 재판과정에서 다투어졌던 쟁점들을 법리적으로 풀어보고 접근하려는 시도이다. 해당사건이 있던 때로부터 벌써 많은 세월이 흘렀지만 당시 쟁점으로 다루어졌던 의문들이 여전히 해결되었다고 생각되진 않는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한 공중의 왕래에 공용되는 통로란, 특정다수나 불특정 소수가 아닌,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곳이어야 한다. 또한, 20년 이상 무상 사용하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렇게 해석할 때에만 민법의 취득시효 논리에 상응하며, 헌법이 보호하는 개인의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특히 피고인이 자신의 토지가 육로가 아님을 다툴 경우 수사기관의 판단에 의하여 육로로 확정짓고 약식명령으로 사건을 진행하여서는 아니 되며, 최소한 정식재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야 한다. 언뜻 보기에도 인지소유자간의 통행로에 관한 다툼이라면 주위토지통행권의 민사적 문제로 먼저 바라보고 육로라 지칭할만한 보편적 통행권이 과연 존재하는지에 관한 민사적 판단을 먼저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며, 그러한 판단이 선행되지 않았다면 가급적 불기소하는 것이 형법의 최후수단성에 부합한다. 국가기관의 지정·고시나 지목상 도로가 명확한 경우가 아닌 현황도로의 경우 형법의 개입은 최소한에 그쳐야 하며, 그것이 인지소유자간의 문제일 때 그러한 필요성은 더욱 커진다.
    이와 같은 의문에서 시작하여 일반교통방해죄의 육로의 개념을 재해석하고, 일반교통방해죄의 처벌에 있어 수사기관과 형사법원이 어떻게 접근해야하는가에 관한 대안을 제시한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내용이다.

    영어초록

    For a long time, the definition of a public pathway under Article 185 of the Criminal Act, referring to "a land route widely used for the general circulation of the public, regardless of ownership, rights of passage, or the number of pedestrians," has been generally accepted. However, the paper raises doubts about whether this concept accords with reality. It explores the question of whether a path that has not been officially designated as a road but has been informally used as such (current situation road) can be considered a public pathway. Moreover, it questions the validity of investigative agencies determining the status of a pathway in cases where the accused strongly disputes its classification as such and whether such determinations can influence civil court proceedings.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e legal issues debated during a trial that reached the Supreme Court, analyzing them based on a real case. Although many years have passed since that case, the unresolved questions still remain.
    The study suggests that a public pathway, defined as a route widely used by the public, should be used by an unspecified majority rather than a specific majority or unspecified minority. Furthermore, it should be in a state of free use for more than 20 years. This interpretation accords with the logic of acquisition prescription in civil law and minimizes infringement on an individual's property rights, a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In particular, if the accused disputes that their land is not a public pathway, the investigative agency should not determine that the land is a public pathway and proceed with the case through a summary order. At least, he or she must be given the opportunity to receive a formal trial. Even at a glance, if there is a dispute over the passage between nearby landowner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ispute be viewed first as a civil issue regarding the right of passage over the surrounding land, and that a civil judgment be first obtained as to whether a universal right of passage worthy of being referred to as a public pathway exists, and such judgment should take precedence. If not, non-indictment if possible is consistent with the last resort of criminal law. In the case of existing roads where the road is not clearly designated or announced by a state agency or land specification, the intervention of criminal law should be limited to a minimum, and when it is a problem between nearby landowners, such necessity becomes even greater.
    Starting from this question, the main content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public pathway for general traffic obstruction crimes and to present alternatives on how investigative agencies and criminal courts should approach the punishment of general traffic obstruction cr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려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