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채권자대위권에 기한 채권회수 기능에 관하여 - 대법원 2022. 8. 25. 선고, 2019다229202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하여 - (The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and the expedited enforcement measure for monetary claim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09
38P 미리보기
채권자대위권에 기한 채권회수 기능에 관하여 - 대법원 2022. 8. 25. 선고, 2019다229202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민사법학 / 104권 / 113 ~ 150페이지
    · 저자명 : 강윤희

    초록

    채권자대위권의 기능은 채무자의 책임재산 확보에서 간이 신속한 채권집행 수단으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하여 채권자대위권과 민사집행법에 따른 금전집행이 경합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사건 대상 판결에서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시각 차이가 드러난다.
    다수의견은 채권자대위권이 법률의 규정 없는 담보권 부여라는 특권에 해당할 수 있음을 이유로 보전의 필요성의 요건을 엄격하게 해석하여 이러한 현상을 제한하려 한다. 그러나 채권자대위권은 특별 규정에 의한 직접청구권과 달리, 집행법적 채권자평등주의에 저해되지도 않고, 그 효력이 직접청구권과 달라 우선적 담보 특권을 부여하는 것도 아니며, 강제집행절차와의 충돌이 그리 큰 문제를 야기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채권자대위권에 기한 간이 신속한 채권집행 수단을 우려스럽게 바라볼 필요는 없다.
    특히 대상판결에서 피보험자의 의료기관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 보험회사의 피보험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은 발생 원인, 경제적 이해관계 등에 비추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이를 대위 행사하는 것이 피보험자의 추정적 의사에도 부합하여 이를 부당한 간섭으로 볼 수는 없다.

    영어초록

    The function of the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is evolving from preserving the debtor's general assets to an expedited enforcement measure for monetary claims. As a result, there is a phenomenon of competition between the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and monetary execution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Different perspectives emerge regarding this phenomenon, evident in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in this 2022DA229202 Supreme Court Decision dated August 25, 2022.
    The majority opinion interprets the “need for preservation” requirement strictly, limiting the application of the “creditor's subrogation” due to concerns about conferring an unregulated collateral privilege. However, unlike a direct claim based on special regulations, the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does not contravene the principle of creditor equality in terms of enforcement proceedings, nor does it lead to significant conflicts with execution procedures.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view the “creditor's subrogation” as a worrisome expedited enforcement measure.
    Notably, in this case, the claims for unjust enrichment against the insured person's medical institution and the insurance company's claim for unjust enrichment against the insured person are closely related in terms of the cause of action and economic interests. Consequently, the “creditor's right of subrogation” exercised in such cases aligns with the insured person's presumed intent and does not constitute undue inter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