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국어 감사하다의 통사 범주에 대하여 (On the Syntactic Category of Korean ‘Gamsahada’ in Present Da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9.11
32P 미리보기
현대 국어 감사하다의 통사 범주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47권 / 7 ~ 38페이지
    · 저자명 : 최호철

    초록

    ‘감사하다’의 통사 범주 기술은 현재 국어사전에서 4가지로 갈리는데, 그것은 형용사만을 설정한 경우, 형용사와 자동사를 설정한 경우, 형용사와 타동사를 설정한 경우, 형용사와 자동사와 타동사를 설정한 경우이다. 이렇게 ‘감사하다’의 통사 범주 기술에서 형용사 범주 설정에는 일치된 기술을 보이고 있으나 동사 범주 설정에는 일치된 기술을 보이지 않고 있어서 이 글에서는 ‘감사하다’의 통사 범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동사와 형용사가 구분되는 의미적 특성의 핵심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속이나 변화의 여부이다. 용언의 의미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속이나 변화가 인식된다면 그것은 동사적 의미를 갖는 것이며,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형용사적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어떤 용언이 동사적 의미를 갖는다면 그것은 형태적ㆍ통사적 측면에서도 동사적 특성을 갖게 될 것이며, 어떤 용언이 형용사적 의미를 갖는다면 그것은 형태적ㆍ통사적 측면에서도 형용사적 특성을 갖게 될 것이다.
    형용사 ‘감사하다’는 외부의 자극으로 말미암은 말한이의 마음 속에서 나타나는 즉시적ㆍ순간적인 반응이다. 반응이 즉시적ㆍ순간적이라고 하는 것은 외부 자극 역시 즉시적ㆍ순간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여 형용사 ‘감사하다’의 의미를 유발하는 외부 자극이 지속적일 수 없다는 것이며 그에 따른 반응 역시 지속적일 수 없다는 것이다.
    ‘감사하다’가 갖는 형용사적 의미는 특정한 때의 결과적 상태로서 말한이의 마음 속에서 나타나는 즉시적ㆍ순간적인 반응이므로 그 의미에서 미시적인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지속을 인식할 수 없다고 하겠다. 따라서 ‘감사하다’의 형용사적 의미 특성인 결과적 상태의 의미가 동사적 특성인 지속이나 변화의 의미로 바뀐 것이라고 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감사하다’라는 용언에 동사(자동사, 타동사)라는 통사적 범주를 설정한 것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일상 언어생활에서 ‘감사해하다’를 사용해야 할 자리에 ‘감사하다’를 동사적 용법으로 사용하는 현상은 의미적 측면에서 <같지 않다>의 의미인 ‘다르다’를 사용해야 할 자리에 <맞지 않다>의 의미인 ‘틀리다’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통사적 측면에서 동사 범주인 ‘감사해하다’를 사용해야 할 자리에 형용사 범주인 ‘감사하다’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syntactic category description of ‘Gamsahada’(be thankful) is currently divided into four types in the Korean dictionary, where only as adjectives, adjectives and intransitive verbs, adjectives and transitive verbs, or adjectives, intransitive verbs and transitive verbs. As such, the syntactic category description of ‘Gamsahada’(be thankful) shows a consistency for adjective category setting, but it does not show a consistency for verb category setting, so this article discussed the syntactic category of ‘Gamsahada’(be thankful).
    The key to the semantic qualities that distinguish verbs and adjectives is whether they persist, change or act over time. If the continuation, change, or action over time in the meaning of a predicate is perceived or recognized, it has a verbal meaning, otherwise it has an adjective meaning. Thus, if a predicate has a verbal meaning, it will have a verbal characteristic in terms of morphology and syntax, and if a predicate has an adjective meaning, it will have an adjective characteristic in terms of morphology and syntax.
    The adjective ‘Gamsahada’(be thankful) is an immediate and instant response that appears in the mind of the speaker by an external stimulus. To say that the response is immediate and instant means that the external stimulus is also immediate and instant. In other words, the external stimulus that causes the adjective ‘Gamsahada’(be thankful) cannot be sequential or continuous and its response cannot be sequential or continuous.
    The adjective meaning of ‘Gamsahada’(be thankful) is an immediate and instantaneous reaction that occurs in the mind of the speaker as the resultant state of a particular time, so in that sense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the change or duration of the microscopic passage of time.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resultant state, which is the adjective meaning characteristic of ‘Gamsahada’(be thankful), cannot be changed into the meaning of the continuation or change, which is the verb characteristic, and consequently setting the syntactic category of the verb (intransitive verb, transitive verb) for the predicate ‘Gamsahada’(be thankful) will have to be reconsidered.
    The phenomena of using ‘Gamsahada’(be thankful) as a verb in place of ‘Gamsahaehada’(to thank) in everyday language life can be considered similar to the case where ‘Teullida’(not right) is incorrectly used in place of ‘Dareuda’(not the same) in terms of the semantic s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