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란봉투법의 위헌 여부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whether the Yellow Envelope Act is unconstitutional)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08
37P 미리보기
노란봉투법의 위헌 여부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31권 / 2호 / 81 ~ 117페이지
    · 저자명 : 이행태, 장영철

    초록

    노동조합 및 노동쟁의조정법 제2조 및 제3조 개정안인 이른바 노란봉투법이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
    노란봉투법은 사용자의 범위와 노동쟁의 개념을 확대하고, 쟁의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일부 제한하여 노동3권의 위축을 방지하고 기본권 보장을 확대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노란봉투법에 대한 찬반양론을 살펴보아 이에 따른 법적 쟁점을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고, 이 법안의 위헌 여부를 논하였다.
    첫째, 죄형법정주의를 위배했는지 문제가 된다. 법안이 법관의 보충적 해석이 필요한 조항이라고 해서 명확성의 원칙에 바로 어긋나지는 않으며 법 적용에 있어 예측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둘째, 계약자유의 원칙을 위배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계약의 자유와 노동3권의 비중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사적자치의 원칙이 모든 사인의 평등한 자유를 전제로 하므로 노동3권의 규범적 비중을 더 높게 평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재산권을 침해했는가에 대해서는 노동3권과 재산권의 기본권충돌 문제로 접근하였다.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을 사실상 제한하는 것은 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할 수 있어, 문제의 본질인 정당한 쟁의행위 범위 확장을 위한 논의에 집중할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 평등권을 침해했는지에 대해서는 헌법이 노동3권을 보장하고 노동조합을 보호하는 취지를 고려하였다. 이에 사용자나 다른 사회단체 등과 평등문제는 합리적인 차별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직업의 자유 침해 여부에 대해서는 노동3권과의 기본권충돌 문제로 보아 규범조화적 해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른바 전략적 봉쇄소송은 노동3권을 무력화하는 위헌의 요소가 있어 이를 제한하는 법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이 법안과 그 위헌 여부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학문적 연구가 지속해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o-called Yellow Envelope Act, a revision to Articles 2 and 3 of the Labor Union and Labor Dispute Mediation Act, is in labor pains ahead of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Yellow Envelope Act aims to expand the scope of employers and the concept of labor disputes, and to partially limit the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industrial actions to prevent the contraction of the three labor rights and expand the guarantee of constitutional rights.
    In this article, the pros and cons of the Yellow Envelope Act and the resulting legal issues were extracted as follows, and whether this bill was unconstitutional was discussed.
    First, it is a question of whether it violated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bill did not directly violate the principle of clarity just because it was a clause that required a supplementary interpretation by a judge, and there was also predictability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Second, the proportion of freedom of contract and the three labor rights should be evaluated as to whether it violated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However, since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presupposes equal freedom of all individuals, the normative weight of the three labor rights was higher.
    Third, whether property rights were violated was approached as a conflict between the three labor rights and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property rights. It was suggested to focus on discussions to expand the scope of legitimate industrial action, which is the essence of the problem, as effectively limiting compensation for damages caused by tort can excessively infringe on property rights.
    Fourth,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ing the three labor rights and protecting labor unions, the issue of equality with users and other social organizations was viewed as reasonable discrimination.
    Finally, it was considered that a normative harmonious interpretation was needed as a matter of conflict of constitutional rights with the three labor rights as to whether or not occupational freedom was violated. However, the so-called strategic blockade lawsuit has an element of unconstitutionality that neutralizes the three labor rights,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gal principles that limit i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ocial discussions and academic research on this bill and its unconstitutionality will contin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