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헹가래’의 語源과 意味에 대하여 (Remarks on the origin and meaning of ‘Henggare’(hoisting someone shoulder-high))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3.12
24P 미리보기
‘헹가래’의 語源과 意味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68호 / 51 ~ 74페이지
    · 저자명 : 조항범

    초록

    ‘헹가래’의 어원 설명은 그와 관련된 근대국어 이후의 용례(‘헤염가레, 헤엄가, 헴가, 헹가래’, ‘헤영가, 허영가, 허엉가, 혀영가, 에영가’ 등)가 다수 발견되어 한결 쉬워졌다. 이들 근대국어 이후의 용례를 통해 볼 때 ‘헹가래’는 ‘헤염가래’에서 온 것으로 보아 문제가 없다. ‘헤염가래’는 ‘헤염[游]’과 ‘가래[杴]’가 결합된 형태로 보인다. ‘헹가래’를 지시하는 단어를 만드는 데 ‘가래’를 이용한 것은 ‘헹가래’의 앞뒤로 내밀었다 들이켰다하는 행위가 가래질의 행위와 유사하기 때문이며, ‘헤염’을 이용한 것은 ‘헹가래’의 네 활개를 잡힌 채 벗어나려고 발버둥치는 행위가 헤엄치는 행위와유사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헤염가래’는 본래 ‘치하하거나 벌을 주기 위해네 활개를 잡고 앞뒤로 내밀었다 들이켰다 하는 반복 행위’를 가리킨다. 지금은 ‘치하하기 위해 네 활개를 잡고 위아래로 던졌다 받았다 하는 행위’를가리켜 의미가 상당히 달라졌다. 행위의 ‘의도’와 ‘방식’에서 큰 차이가 생긴것이다. 의미 변화는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행위의‘의도’와 ‘방식’에서의 네 단계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헤염가래’에서 ‘헹가래’로까지의 어형 변화는 문헌 예만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헤염[游]’이 ‘헤엄’을 거쳐 ‘헴’으로 축약되듯, ‘헤염가래’ 또한 ‘헤엄가래’를 거쳐 ‘헴가래’로축약되고, 이어서 자음동화하여 ‘헹가래’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Because there have been found many modern Korean words related to the word ‘헹가래’(‘헤염가레, 헤엄가, 헴가’, ‘헤영가, 허영가,허엉가, 혀영가, 에영가,’ etc.) found in some manuscripts, it is very easy to trac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헹가래.’ According to modern Korean usage, ‘헹가래’ could be assumed to be from ‘헤염가래.’The word seems to be a composition of ‘헤염[游]’ and ‘가래[杴]’. In the word ‘헤염가래’, the act of ‘헤염’ is similar to the act of ‘헹가래’(trying to stretch their legs and arms to escape from the bond) and the act of ‘가래’(digging with a spade) is similar to the act of ‘헹가래’(pushing and pulling someone’s body). Originally, ‘헤염가래’ is a repetitive act of holding someone’s legs and arms and pushing and pulling in air to praise or punish someone. Nowadays, ‘헹가래’ is an act of holding someone’s legs and arms and tossing or hoisting someone shoulder-high in the air. The two acts are different in ‘intention’ and ‘way of acting.’The difference can be understood by a 4-step-change process of ‘intention’ and ‘way of acting.’ Examining many example usages in scripts, it is possible to trace the origin of ‘헹가래’ in ‘헤염가래.’ As ‘헤염[游]’ became ‘헤엄’ and then ‘헴’ by word contraction, the ‘헤염가래’became ‘헤엄가래,’ ‘헴가래’, and then can be in the form of ‘헹가래’lastly by consonant assimi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