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오교장』 「심식차별」 논의에 대하여 (About the discrimination of Mind-Consciousness in the 『Hua Yen Wu Jiao Zhuang』)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4.09
33P 미리보기
『화엄오교장』 「심식차별」 논의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19호 / 367 ~ 399페이지
    · 저자명 : 조배균

    초록

    불교사에서 ‘마음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은 다양한 학파의 ‘심식론’(心識論)으로 전개되어 왔다. 법장(法藏, 643-712)이 세계와 인간에 대한 해명을 마음의 관점에서 시도해 보겠다는 것이 『화엄일승교의분제장(華嚴一乘教義分齊章)』 「심식차별(心識差別)」 논의이다. 법장은 각 교파의 마음의 본성과 식별작용 등과 관련한 불교의 다양한 가르침들이 어떤 마음을 설하고 있는가를 화엄오교판에 따라 상승적으로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심식차별 논의를 통하여 화엄원교가 최고의 가르침으로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탐색한다.
    법장은 화엄원교의 ‘진여’(眞如) ‘일심’(一心) 이해를 토대로 하여 5교의 심식 논의를 차등적으로 평석한다. 소승교(小乘敎)의 심식은 ‘육식’(六識)을 주로 하고 아뢰야식(阿賴耶識)의 이름 정도만을 아는 가르침으로, 대승시교(大乘始敎)의 심식설인 ‘아뢰야식설’(阿賴耶識說)은 생멸(生滅)의 현상적 측면만을 주로 설하는 불완전한 가르침으로, 대승종교(大乘終敎)의 진망화합식(眞妄和合識)인 ‘여래장심’(如來藏心)은 원리적 측면과 현상적 측면이 융통한 이사무애(理事無碍)단계를 아는 가르침이지만 아직 사사무애(事事無碍)의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는 가르침으로, 돈교(頓敎)의 ‘유일진여심’(唯一眞如心) 논의는 차전(遮詮)의 입장에 머무는 가르침으로서 무진(無盡)의 공덕을 적극적으로 설하는 원교(圓敎)의 심식인 ‘성해구덕심’(性海具德心) 논의에는 미치지 못하는 가르침으로 파악되고 있다.
    ‘포월논리’(包越論理)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법장의 심식차별론은 낮은 단계의 교의를 그보다 높은 단계의 교의로 포월하며 화엄교학을 궁극적인 가르침으로 정립시킨다. 심식의 본질에 대하여 각 교파 사이의 차별적 논의는 동교(同敎)라는 공간에서 융회(融會)된다. 원교일승의 일심 이해인 ‘성해구덕심’(性海具德心)은 여타 제교보다 우월한 별교일승의 심식이자 또한 여타 제교와의 동일성을 확보하는 동교일승의 심식인 포월적인 것이다.

    영어초록

    Fazang(法藏, 643-712) discusses various theories of Mind- Consciousness(心識說) in 『Hua Yen Wu Jiao Zhuang(華嚴五敎章)』.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how Huayen teaching reach the best on various theories Mind-Consciousness in Fazang's Classifications of Buddhist Teachings. Through the Huayen's view on One-mind(一心)ㆍReal(眞如), Fazang discriminates various theories of Mind-Consciousness as Five levels. In Fazang’s interpretation on various theories of Mind-Consciousness, subsumption relation is established, ‘the Ṣaḍvijñāna(六識) of Hīnayāna(小乘敎) ≦ the Ālayavijñānavijñāna(阿賴耶識) of Mahāyāna -beginning-teaching(大乘始敎) ≦ the Tathāgatagarbhavijñāna(如來藏心) of Mahāyāna-final-teaching(大乘終敎) ≦ the Only-real-mind(唯一眞如心) of Immediate-teaching(頓敎) ≦ Nature-guṇa-upeta-mind(性海具德心) of Round-one-vehicle-teaching(圓敎一乘).’ Huayen- thought is Special-teaching(别敎) which is engaging all others, and all Buddhist Teachings flow from it in his Classifications. By his hermeneutics strategy, Fazang intends to prove that the Huayen doctrine is the best teaching to cover any others.
    Simultaneously, all teaching can be grouped into a common doctrine in One-mind. One-mind is Common-teaching(同敎) in five different levels. It can be made possible to embrace Classifications of all Buddhist Teachings by his Subsume-transcendency logic. His thought is based on the theory of Mind-only(唯心論). One-mind is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foun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