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강점기 조선인 여학교와 재조선 일본인 여학교의 특성 비교 연구 – 동덕⋅수원고녀 학적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Girls' High School and Japanese Girls' High School in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Era-Focusing on the School Register of Dongduk and Suwon Girls’ H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5.01
32P 미리보기
일제 강점기 조선인 여학교와 재조선 일본인 여학교의 특성 비교 연구 – 동덕⋅수원고녀 학적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6호 / 103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명숙

    초록

    본고는 동덕고녀와 수원고녀의 1945년 졸업생 학적부를 분석하여, 제 3⋅4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인 사립고녀와 일선공학으로 운영된 재조선 일본인 공립고녀의 특성을 비교사적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동덕고녀는 춘강 조동식 선생과 그의 민족주의적 여성교육 이념에 공감한 조선인 독지가들의 재정적 후원으로 설립된 경성 소재의 사립학교로 민족주의 교풍이 강한 학교였다. 수원고녀는 재수원 일본인 학교조합에서 일본인 여학생의 중등교육을 목적으로 설립한 공립학교로 일선공학으로 운영된 일본인 학교였다. 동덕⋅수원고녀의 학적부 기록 언어는 전자가 주로 한글과 한문으로 기록된 반면 후자는 일어와 한문으로 기록되었다. 보호자의 직업은 농업종사자가 동덕고녀 27.3%, 수원고녀 18.8%인 반면, 근대여성교육에 매우 적극적이고 개방적이었던 공무⋅자유업 종사자는 동덕고녀 33.4%, 수원고녀 52.1%였다.
    성적평가의 특징은 제 3차 조선교육령에 의해 교사의 자의성과 주관적 판단의 여지가 있는 ‘조행(操行)’과 체위(體位) 점수를 성적에 반영한 것이다. 체위향상을 위해 동덕고녀는 전교생에게 생활체육의 일환으로 근대스포츠를 장려하여 체위를 향상시키고자 했다면, 수원고녀는 군사훈련에 버금가는 강도 높은 체력훈련을 통해 체위를 향상시키고 신체 강건한 황국여성으로 육성하고자 하였다. 성행평가는 관찰자인 담임교사의 주관적인 관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기록으로, 동덕고녀의 경우 성질과 행위가 성적에 비례하지 않고, 대부분의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원고녀는 기질⋅거동평가에서 ‘온순⋅명랑⋅쾌활’한 성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활발하지 않고, 둔중하며, 멋대로’인 성품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지조 평가에서는 한국학생에 비해 일본학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한국학생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 중에 ‘겉과 속이 다름, 우유부단, 소극적, 견실하지 못함’ 등이 많았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school records of Dongduk and Suwon Girls’ High Schools during the 1940s were analyzed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girls’ high school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and Japanese girls’ high school in Korea. Dongduk Girls’ High School was a private school founded in Gyeongseong(Seoul) by Chungang Cho Dongshik and Korean benefactors who shared his view of nationalistic women’s education, and had a strong nationalistic tendency. On the other hand, Suwon Girls’ High School was founded as a public school by the Suwon Japanese School Association for secondary education of Japanese female students.
    While Dongduk Girls’ High School kept the records mainly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Suwon Girls’ High School recorded in Japanese and Chinese characters. For the names of students and parents, also, the former first put the Korean name, which was crossed out in two lines, to write the Japanese name on top of it. There were 14(8.5%) students out of 165 who did not convert their names into a Japanese one. However, in Suwon Girls’ High School, except 1 student, all students’ names were recorded in the Japanese version.
    In both Dongduk and Suwon Girls’ High Schools, only a quarter of the parents were involved in agriculture whereas 82.1% of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during the 1930s and 1940s were working in agriculture. However, about one third of parents at Dongduk Girls’ High School and half of parents at Suwon Girls’ High School were public servants or liberal professionals who were highly active in and open to women’s education as a newly emerging bourgeoisie class.
    In the Thir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conduct’, which is likely to reflect the subjective opinion of the teacher, was included in the grade. Demeanor evaluation was based on observation of the teacher in charge on overall daily life of student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nd reveals the perspective and position of the recorder. Suwon Girls’ High School, where both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were educated, showed ethnic discrimination in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