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쳐다보다’의 ‘치-’의 기원에 대하여: <호토토기스(不如歸)>와 <불여귀>의 비교를 중심으로 (On the origin of the verbal stem chi- in chi-eta po-ta: a comparison study between Hototogisu and Pulyekw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7.12
25P 미리보기
‘쳐다보다’의 ‘치-’의 기원에 대하여: &lt;호토토기스(不如歸)&gt;와 &lt;불여귀&gt;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45권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김현주

    초록

    본고는 ‘호토토기스’와 그 번안 ‘불여귀’의 비교를 통해 ‘쳐다보다’의 ‘치-’의 정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국어사전들에서 이 동사의 기본의미를 ‘위를 향하여 봄’으로 상정하였는데 이는 ‘치-’를 ‘위를 향함’의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용법의 빈도나 의미 파생 관계 등의 측면에서 이는 개연성이 충분하지 않다. 대신 본고는 ‘쳐다보다’의 ‘치-’를 ‘손, 발, 꼬리, 머리 등을 움직임’을 뜻하는 동사로 추정하여 그 기본의미를 ‘목표를 향해 고개를 움직여 그 상태로 바라봄’으로 보았다. 한편 ‘쳐다보다’는 유사한 의미와 구성을 보이는 ‘쏘아(다)보다’나 ‘들여다보다’ 등과 함께 일본 문물이 쏟아져 들어오는 시점에서부터 쓰이기 시작했다. 또한 이들 합성동사들은 ‘보는 행위’의 달성을 위해 ‘큰 에너지’와 ‘큰 통제력’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어 표현의 특징이다. 따라서 ‘쳐다보다’의 등장에는 직간접적으로 일본어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morph chi- in the compound verb chi-eta po-ta (to stare at) by means of comparison between Hototogisu and its Korean adaptation Pulyekwi. Previously, identifying the meaning of chi- as ‘upward’, the compound verb's basic meaning has been considered as ‘to look upward’. But as a basic meaning it doesn't have enough token frequency, nor explanatory power to derive the other two major usages, that is, ‘to stare at’ and ‘to chin up and look at’. Instea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orph is related to a presumptive verb chi- ‘to make pivotal movement of an arm, a leg, or the head of a body’, and so the basic meaning is ‘to turn one’s head toward the object and then look at it’. The verb surfaces since the Japanese influx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same goes with its two kinds of synonyms, the sso-ata po-ta (to shooting-likely look at) type, and the tul-i-eta po-ta (to closely look at) type. Their constructions are identical with chi-eta po-ta; they all figure looking as a targeting-task in need of high energy and high attention. Such a way of figuring for looking has attested in Japanese texts alrea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