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전환기 모성의 재구성에 대하여 - 여훈서(女訓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maternity in the period of transition to the modern times : focused on the Yeo-Hoon-Seo(女訓書))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8.06
36P 미리보기
근대전환기 모성의 재구성에 대하여 - 여훈서(女訓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36호 / 219 ~ 254페이지
    · 저자명 : 성민경

    초록

    본고는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모성이 재구성되는 양상과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그것에 앞서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편찬의식을 살펴보았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편찬의식은 급속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위기의식과 그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전통적 가치의 수호의지, 그리고 국가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주의 모성’에 대한 요청과 그에 따른 여성교육의 필요에 대한 공감이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전통 여훈서에 비해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 자녀교육 관련 내용이 양적․질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그 모성은 어떤 형상의 띄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근대전환기 여훈서에서는 자녀교육에 관련된 지식이나 예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연히 증가되었다. 교육 관련 개별 항목을 둔 것은 ‘어머니’를 여성의 정체성 중 하나로 분명히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범적 어머니의 형상으로 나열된 사례들은 작가적 배경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종의 유형을 띠고 있어 고찰이 필요하다. 모성의 형상은 (1)엄격한 훈육과 학업의 독려, (2)충의와 공렴의 강조로 요약될 수 있다. 두 유형 모두 여훈서가 근대전환기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데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모성 재구성은 여성의 권한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근대적 가족 모델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유교적 종법사상에 기초한 전통가족제도를 수호하려는 입장을 강력하게 천명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화되는 모성은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온 여성의 예속은 그대로 둔 채 새로운 의무를 추가하는 것이 될 수밖에 없다. 이렇듯 근대전환기 여훈서의 모성 재구성은 제한적인 의의를 지닐 수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국가’와 ‘민족’의 경계가 일신되는 변혁의 시기에, 유학에 기반 한 보수적 지식층에서도 국민의 ‘생산자’이자 문화의 ‘재생산자’, 그리고 ‘집단성의 전달자’로서 여성/모성이 갖는 의미를 포착하고, ‘學’과 ‘忠’이라는 전통적이면서도 근대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 가치를 통해 여훈서로 재구성한 대응의 실천적 의의는 평가할 만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maternal reconstruction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Prior to that, I examined the compilation ritual of the Yeo-Hoon-Seo(女訓書)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 compilation ritual of the Yeo-Hoon-Seo(女訓書)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s the will of the traditional values as the crisis consciousness and the reaction against the rapid change of the times, and the demand for 'Nationalism motherhood' in response to the national crisis and the empathy for the need for female education. In the following, I examined how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the children chang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e modern transition Yeo-Hoon-Seo(女訓書)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Yeo-Hoon-Seo(女訓書), and the shape of the motherhood. In the modern transition Yeo-Hoon-Seo(女訓書), the proportion of knowledge and illustrations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Having individual items related to education clearly suggests 'mother' as one of women's identities. And even though the cases listed in the form of exemplary mothers are of some type in spite of the diversity of the artist background. The shape of maternity can be summarized by (1) rigorous discipline and encouragement of study, and (2) emphasis on charity and co-existence. Both types show that Yeo-Hoon-Seo(女訓書) reflect the times of the modern transition. However, the motherhood reconstruction of the modern transition Yeo-Hoon-Seo(女訓書) lacks the awareness of the modern family model that women's authority can be expanded and strongly advocates the position to preserve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based on Confucian clan rules. In this situation, the strengthening of maternity is bound to add a new obligation without leaving the traditionally maintained female subordination. In this way, the reconstruction of maternity in the modern transition Yeo-Hoon-Seo(女訓書) has a limited significance. However, at the tim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boundary between 'nation' and 'nation', women 's / maternity as a' producers' of culture, 'reproducers' of culture, and' communicators of collectivity ' And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significance of '學' and '忠' can be regarded as a part of the evaluation of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Yeo-Hoon-Seo(女訓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