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교양교육으로서의 스피치 교육에서 상호소통과 피드백을 통한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rtcus)’되기-동의대학교 스피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Becoming a ‘Homo Empartcu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Feedback in Speech Education as a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ocused on the Case of Speech Class at Dong-eui Universi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2.04
29P 미리보기
대학교양교육으로서의 스피치 교육에서 상호소통과 피드백을 통한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rtcus)’되기-동의대학교 스피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대학교양교육연구 / 7권 / 1호 / 25 ~ 53페이지
    · 저자명 : 신윤주

    초록

    4차산업 혁명 시대의 진입 이후 대학생들의 스펙강화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하고 드러내는 방식의 수준을 가늠하게 하는 스피치 능력이 더욱부상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에 이르러 기존 스피치 수업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재검토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을 기반 대학교양수업의 특수한 변화를 경험한 동의대학교의 <스피치 수업>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스피치 수업>의 실제적인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했다. 먼저 온라인 방식이 부가적으로 오프라인수업의 효율적인 진행에 도움이 되었던 코로나-19 이전의 <스피치 수업>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상에서의 교수자-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소통의 적용, 피드백의 필요성과효과, 수업성과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수업을 대체하는 온라인 수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황에서의 온라인 <스피치 수업>에서의 교수자-학습자 간, 학습자-학습자간의 상호소통, 피드백, 수업의 성과를 면밀하게 살펴보려고 했다.
    본 논문은 <스피치 수업>에서의 수업 방식의 차이에 따른 비교 연구, 교차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수업에서 공통적으로 공감과 맞물리는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되기’를 적용하는 새로운 스피치 수업의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먼저, 교수자의 리더십이 중요하며 교수자는 학습자를 지속적으로 돕는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더불어 학습자 간 상호소통과 피드백 작업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고는 교수자를 위시한 수업 주체들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방식의 스피치 수업에 비해 온라인 수업은 <스피치수업>의 학습 효율 면에서 다소 부족한 점을 노출시킨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럼에도 수업 방식과 무관하게 진정한 소통을 경험하고 타인과 제대로 교감할 수 있는 호모 엠파티쿠스되기의 교육을 위한 <스피치 수업>에 대한 제언은 앞으로도 꾸준히 보충해나가고자 한다.

    영어초록

    As the importance of reinforcing the specifications of college students has diminished since the advent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peech ability, which can measure the level of the way of expressing and revealing one’s thoughts well, began to rise more and more. Recentl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undamental reflection and reexamination of the existing speech class method has become inevitable. This study closely monitored <Speech Class> at Dong-Eui University, which experienced a special change in online-based university education, and studied practical cases of <Speech Class>. First, this article tried to examnine the application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learner, learner and learner online, the necessity and effect of feedback, and performance in class. Furthermore, I tried to closely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feedback, and performance in class in the online <Speech Class> in a situation that completely relied on online classes to replace offline classes after COVID-19.
    This thesis applies ‘becoming Homo empathicus’, which is commonly associated with empathy in classes before and after COVID-19, through comparative and cross-study studi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eaching methods in <Speech class>.
    This is to prove the possibility of a new speech class. First, the instructor’s leadership is important, and the instructor must be a facilitator to help the learners continuously. In additi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feedback work are also important factors. This paper came to the conclusion that, despite the various efforts of the instructors and other class subjects, the online class exposes some shortcomings in the learning efficiency of <Speech class> compared to the offline speech class. Nevertheless, regardless of the class method, we plan to continuously supplement the suggestions for the <Speech Class> for the education of becoming a Homo empaticus, who can experience genuin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e properly with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