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용 의약품에 대한 제조물책임: 가금(家禽)용 엔로플록사신(enrofloxacin) 제제(製劑)의 잔류 피해를 중심으로 ― 대상판결 : 대법원 2022. 7. 14. 선고 2017다213289 판결 ― (Product Liability for Enrofloxacin: A Review on a Preparations for Poultry Case in South Korea — 「Supreme Court Decision on July 14, 2022, 2017 Da213289」 —)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4.11
49P 미리보기
동물용 의약품에 대한 제조물책임: 가금(家禽)용 엔로플록사신(enrofloxacin) 제제(製劑)의 잔류 피해를 중심으로 ― 대상판결 : 대법원 2022. 7. 14. 선고 2017다213289 판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32권 / 3호 / 93 ~ 141페이지
    · 저자명 : 이동환, 김제완

    초록

    이 사건은 가금류에 사용된 동물용 의약품인 엔로플록사신(Enrofloxacin, 플루오로퀴놀론계 항균제) 제제의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이 법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가 중요한 쟁점이 된 사례로서, 대상판결은 동물용 의약품의 제조물책임에 관하여 그 중요 법리에 관하여 판시한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대상판결에서 문제된 엔로플록사신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품은 특히 대상판결과 같은 가금류에 사용되는 경우 산란되는 계란에 항생제 성분이 검출되는 경우가 있어서 최종소비자인 인간의 건강을 해하는 것으로 이미 오래전부터 문제제기가 있었으며, 뒤에서 다시 살피는 바와 같이 대표적으로 미국에서는 FDA에서 승인을 취소한 바 있고, 우리나라도 농식품부에서 이미 2016년부터 관리를 시작하여 가금에 사용하는 엔로플록사신 제제에 대해 국내 판매용 제조와 수입이 2021년 10월 31일부터 금지된 바 있다.
    대상판결에서 필자가 평석하고자 하는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심과 대상판결에서 가금에 사용하는 엔로플록사신 제제에 대해 표시상의 결함을 인정한 점에 관하여는 그 결론이나 논거 모두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원심에서 본 건 제제에 대해 표시상의 결함을 인정하면서 제조상의 결함을 부정한 부분에 관하여는 좀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의약품이 동물 자체의 건강을 치료하는 것이 주된 직접적인 목적인 경우(예컨대 반려동물 치료를 위한 경우)와 달리 동물 자체의 치료보다는 궁극적으로 이를 소비하는 인간의 건강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의약품 제조물책임에 적용되는 엄격한 법리를 그대로 적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대상판결 사안에서는 심도 있게 심리되거나 판단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동물용 의약품의 제조상의 결함 및 설계상의 결함의 판단기준에 관한 법적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이를 위하여 우선 대상판결에서 문제가 된 엔로플록사신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동물용 의약품에 대한 미국 FDA에서의 승인 취소 등 외국에서의 대응 동향을 살펴보기로 한다.
    넷째, 대상판결에서 주된 쟁점으로 주장되거나 판단되지 아니하였지만, 동물의 의약품에 대하여 제조물책임법을 적용하는 과정에 고려되어야 할 그 밖의 쟁점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영어초록

    The important issue in this case is whether the defect in the product liability law for Enrofloxacin (a fluoroquinolone antibiotic), a veterinary drug used in poultry, can be legally recognized. The ruling is significant as a case ruling on important legal principles regarding product liability for veterinary drugs. Veterinary drugs containing enrofloxacin(a fluoroquinolone antibacterial agent) as the main ingredient, which was at issue in the target ruling, were finalized because antibiotic components were sometimes detected in eggs laid, especially when used on poultry, as in the target ruling.
    First, I think that both the conclusion and the argument are valid regarding the fact that the original trial and the target judgment acknowledged a defect in the labeling of the enrofloxacin preparation used in poultry.
    Second, a more careful review is needed regarding the part where the original trial acknowledged a defect in the labeling of the product in question but denied a manufacturing defect. It is true that when determining manufacturing defects or design defects in pharmaceuticals, special legal principles with different and more stringent standards are applied compared to general products. However, the standards may be different for medicines used directly in humans and medicines used in animals. In particular, unlike in cases where the main direct purpose of the drugs are to treat the health of the animal itself (for example, for the treatment of companion animals), when the health of the human who ultimately consumes the medicine is an issue rather than the treatment of the animal itself, pharmaceutical product liability may apply.
    Third, for this purpose, we will first look at response trend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cancellation of approval by the U.S. FDA for veterinary drugs containing enrofloxacin as the main ingredient, which was the issue in the target ruling. If a defective veterinary drug causes harm to animals and secondary damage to consumers who consume the animals, the damage becomes more serious, and prompt legal relief for the resulting damage is necessary. Therefore, for products such as veterinary drugs, it may be worth considering introducing a strengthened special law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oduct liability law applied to other general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