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생의 질서, 서사의 연출 – 장 파울의 『아우엔탈의 유쾌한 선생 마리아 부츠의 인생』을 중심으로 (Die Ordnung des Lebens, die Inszenierung des Erzählens - Zu Jean Pauls Le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Maria Wutz in Auenthal)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1.03
24P 미리보기
인생의 질서, 서사의 연출 – 장 파울의 『아우엔탈의 유쾌한 선생 마리아 부츠의 인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2권 / 1호 / 65 ~ 88페이지
    · 저자명 : 이영기

    초록

    장 파울의 첫 장편소설 『보이지 않는 비밀결사』(1793)의 부록으로 수록된 『아우엔탈의 유쾌한 선생 마리아 부츠의 인생』에는 ‘일종의 전원시’라는 부제가 달려 있다. “제한 속에서 충만한 행복의 서사적 묘사”라는 작가의 전원시에 대한 규정에 부합하듯, 주인공 부츠의 삶은 언뜻 보기에 소박한 전원적 삶으로 비추어지기에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은 이러한 장르이론에 치우친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허구적 인물 마리아 부츠의 인생을 들려주는 서술자의 심급과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 작품은 서술자의 담론 층위와 부츠의 이야기 층위로 구성되어 있다. “항상 즐겁게 지낼 수 있는 기술”을 지닌 부츠의 인생은 서술자의 끊임없는 개입과 논평 및 추론으로 인해 연대기적 질서에 따라 제시되지 않으며, 부츠의 ‘삶’과 ‘죽음’에 관한 서술자의 서사적 성찰성은 주인공의 유아론적·나르시시즘적 태도와 해석학적 이해가 결여된 백과전서적 집필 활동과 극명한 대조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이러한 글쓰기 행위를 통해서 서술자는 “책 만드는 자”에서 “책 쓰는 자”가 되어가고 부츠의 인생에서 새로운 삶의 통찰을 획득한다. 이렇듯 부츠의 장서(藏書)와 유년 시절의 잔재물들 속에 파편처럼 박혀 있는 삶의 작은 조각들을 ‘일종의 전원시’라는 하나의 커다란 전체로 새롭게 구축한 이 작품은 또한 부츠라는 한 인간의 인생에 관해 서술자와 독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유희적 대화에 대한 요청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Jean Pauls Le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Maria Wutz in Auenthal wurde 1793 als Anhang zur Unsichtbaren Loge veröffentlicht. Die Erzählung hat Jean Paul im Untertitel als ‘Eine Art Idylle’ bezeichnet. Wutz’ Vergnügtsein und seine “Kunst, stets fröhlich zu sein”, scheint genau mit Jean Paulscher Idylle übereinzustimmen, die er als “epische Darstellung des Vollglücks in der Beschränkung” definiert. In der vorligenden Arbeit soll jedoch die Instanz des Erzählers und dessen Erzählhaltung herausgestellt werden, weil sich die Erzählung im Grunde aus der discours-Ebene des Erzählers und der histoire-Ebene des Protagonisten konstituiert. Der proteische Erzähler stellt sich bald als Biograph, bald als Kommentator immer wieder selbst in den Vordergrund, so daß Wutz’ Lebensgeschichte nicht chronologisch erzählt wird. Zur narrativen Reflexivität des Erzählers innerhalb der Lebensdarstellung bildet Wutz um seiner Selbstbezogenheit willen ein Gegenbild. Das Wutzsche enzyklopädisch-solipsistische Schreiben ist kein Ergebnis eines hermeneutischen Verstehensprozesses. Wie Wutz selber ein Schreiber ist, ist auch der Erzähler gerade beim Scheiben der Lebensgeschichte von “Büchermacher” zu “Bücherschreiber” geworden. Der Erzähler hat eine neue Perspektive auf das Leben gewonnen, indem er das Streben nach Glück im Leben, wie es sich in Wutz’ Lebensweise zeigt, mit der Einsicht in seine Sterblichkeit verbindet. Insofern kann sein Schreiben gerade als eine Suche nach der Möglichkeit der Koexistenz beider nur scheinbar gegensätzlicher Haltungen verstanden werden. Die Erzählung ist also eine Afforderung, ein spielerisches Gespräch zwischen dem Erzähler und dem Leser über das richtige Verständnis vom Leben und Sterben zu füh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