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이스터 엑카르트의 초탈 이해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detachment in Meister Eckhar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1.02
26P 미리보기
마이스터 엑카르트의 초탈 이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26호 / 137 ~ 162페이지
    · 저자명 : 권명수

    초록

    13세기 후반과 4세기 초반의 인물인 마이스터 엑카르트는 현대에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그의 신학이 갖는 부정신학적 요소가 생태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 매튜 폭스는 엑카르트을 사상적 토대로 그의 창조 영성신학을 전개하고 있다. 특별히 엑카르트 영성 사상을 4개의 영적 여정으로 세분하여 이해하고 있다: 긍정의 길, 부정의 길, 창조의 길, 변형의 길. 본 논문은 앞의 두 여정을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다. 앞의 두 영적 여정은 3-4번째 영적 여정인 창조와 변형의 길의 전제 조건인 동시에 방법론이 된다.
    엑카르트의 영성 사상은 기본적으로 이 세상의 피조물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하나님은 말씀으로 이 세계를 창조하신 후 “하나님 보시기에 좋았다”(창 1: 21, 25, 31)고 하셨다. 엑카르트는 “만물이 그에게서 나고, 그로 말미암아 있고, 그를 위하여 있습니다.”(롬 11:36)고 고백할 수 있었다. 하나님은 만물 속에 내재해 계신다. 하나님이 자신에게 가까이 계시다는 것을 깨달아 알면 알수록 행복한 영혼이 될 것이다.
    엑카르트는 창조계의 선함을 이야기하지만, 인간이 피조세계를 인식하고 상호교류하는 길이 단절되어 있음을 알고 있다. 그는 이의 극복을 위해 초탈(detachment, Abgeschiedenheit)을 강조한다. 그래서 인간에게 덧씌워진 모든 것을 벗어버리고 탈피하는 초탈의 수행이 요청된다. 엑카르트는 이를 가난(poverty, Armut)으로 표현한다. 곧, 모든 것을 거추장스러운 옷과 같은 것으로 생각, 이미지, 감정 등을 벗어버려야 한다. 심지어 자신이 알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생각까지도 벗어나야 한다. 이를 통해 영혼은 내면이 비워지며 무(無)가 된다. 이렇게 될 수 있는 것은 하나님과 영혼이 둘이 아니라 ‘하나’란 사실에 있음을 엑카르트는 강조한다. 이렇게 영혼의 근저에서 영혼과 하나님이 하나 되는 곳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Meister Eckhart, who lived in the thirteenth to fourteenth century, has been reviewed freshly in our time. The apophatic dimension in his thought is seen in a new perspective. Matthew Fox develops his theology of creation spirituality on the basis of Meister Eckhart. Fox summarizes Eckhart's thought in the four spiritual paths: via positiva, via negativa, via creativa, and via transformativa.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first two, since the third and fourth paths are based upon the first two.
    Basically Eckhart's spiritual thought sees creation in a positive light. God creates the world by the Word and sees all that has been created as good (Gen 1: 21, 25, 31). Thus, Eckhart was able to confess that "For from Him and through Him and to Him are all things" (Rom 11:36). God is present in all things. Eckhart insists that the more the soul experiences the closeness of God, the happier s/he becomes.
    Though Eckhart recognizes that creation is good, he also knows that humans are cut off from the path of communication with and awareness of the world of creation. Thus he emphasizes detachment (Abgeschiedenheit) as a way to overcome this alienation. He proposes the practice of detachment as a way of letting go of things that cling to humans. Eckhart calls the practice of detachment poverty (Armut). Like taking of clothes that cling to our bodies, we need to let go of all such things as thoughts, images and feelings. Through this the soul becomes interiorly empty. This is possible, Eckhart reminds us, because God and the soul are not two, but "one." In this way at the ground of the soul, where the soul and God are one, the son of God is bo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