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슈어테크와 보험업 허가주의에 관한 고찰- 2019년 EU 보험연금감독청 보고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surtech and Insurance Business License - Focusing on the 2019 EIOPA Report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1.06
39P 미리보기
인슈어테크와 보험업 허가주의에 관한 고찰- 2019년 EU 보험연금감독청 보고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보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보험법연구 / 15권 / 2호 / 3 ~ 41페이지
    · 저자명 : 김화중

    초록

    인슈어테크(Insurtech) 확산과 더불어, 이른바 빅테크(Big Tech) 같은 IT 기반 플랫폼이나 소규모 스타트업의 보험시장 진입 활성화가 예상된다. 이 경우 보험서비스와 유사한 사업모델에 대한 허가 필요여부 등 기존의 진입규제 적용이 문제되고, 산업혁신과 거래질서·소비자보호 간 균형이 쟁점이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의 경제현상에 법제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규범지체 현상도 빈발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슈어테크에 대한 EU의 제도적 고민이 담긴 2019년 보험연금감독청 보고서를 중심으로 우리 제도상의 규제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EU 조차도 새로운 인슈어테크 환경에서 규제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해당 보고서 역시 세밀한 제도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최소한의 전제로 견지하는 것은 바로 동일행위 동일규제 원칙과 비례원칙이다. 이를 바탕으로 검토하면, 첫째, 새로운 인슈어테크 모델의 보험업 허가대상 여부에 모호한 점이 있더라도, 공정경쟁의 장을 저해하는 규제차익을 용인해서는 안 된다. 즉, 동일기능 동일규제 원칙에 비추어 위험보장기능을 수행하고 다수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친다면 보험규제 대상으로 포함해야 한다. 둘째, 일단 규제영역에는 포함시키되 위험기반 비례원칙을 반영한 유연한 제도적 대처가 필요하다. 새로운 IT기술과 제도 간 융합의 역동성을 고려하고, 사회적 효용과 위험성 간의 비교형량을 통한 정교한 감독대응이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진입규제상 비례원칙은 예를 들어 허가요건 완화나 예외인정, 자본금 조정도 들 수 있는데, 최근에 국내에 도입된 규제샌드박스나 소액단기보험업제도 등의 활용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기본원칙 하에 향후 출현가능한 다양한 사업모델에 대한 각론상의 검토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long with the spread of Insurtech, IT-based platforms such as so-called Big Tech or small start-ups are expected to enter the insurance market in the future.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of existing entry regulations such as whether a license is required for a business model similar to insurance services is a problem and the balance between industrial innovation and consumer protection may become an issu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frequent delays in norms where the legal system cannot keep up with economic phenomena.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the system of South Korea, focusing on the 2019 EIOPA report, which contains the institutional concerns of the EU on InsurTech. Even the EU seems to be still experiencing regulatory confusion in the new insurtech environment, but the minimum premise is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same regulation and proportionality. Based on this review, first, even if there are ambiguities in whether or not the entry regulation of the new type of insurtech model is applied, regulatory arbitrage that hinders the fair competition should not be tolerated. In other words,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same regulation for the same function, if it ultimately performs the risk insurance function and affects a large number of consumers,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subject of regulation. Second, although it is included in the regulatory domain, a flexible institutional response is needed that reflects the risk-based proportionality principl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ynamism of new IT technology convergence into the system, and to take a sophisticated supervisory response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social utility and risk.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entry regulation includes, for example, relaxation of license requirements, permit of temporary exceptions, and adjustment of capital requirement. Under the above basic principles, various business models that may emerge in the future should be reviewed in individual cases. For timely legal and institutional analysis of various business models in the future, open communication with the market should be mainta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험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