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문화자원의 시각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 담양지역 요식업을 중심으로 - (A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Applied from Visual Imag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 Focused on the Restaurant Business in Damyang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6.03
13P 미리보기
지역문화자원의 시각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 담양지역 요식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1호 / 101 ~ 113페이지
    · 저자명 : 나현숙, 배수정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담양의 요식업에서 착용하고 있는 종사자 유니폼 현황을 파악하고 실태를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담양 문화자원의 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화자원의 개념과 유형, 담양의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하였고, 요식업소 30곳의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지법을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범위는 2015 세계대나무엑스포 행사 장소 주변인 담양 죽녹원과 관방제림 일대의 요식업소 30곳으로 한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담양 지역문화자원의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 개발 방향과 유니폼디자인을 하였다. 유니폼 일러스트레이션은 Adobe Illustrator CS 6와 Adobe Photoshop CS 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도식화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 결과, 요식업 종사자 유니폼은거의 대부분 담양의 지역 문화적 특성이 부가되지 않은 낮은 가격의 아이템인 앞치마를 착용하고 있었고, 사이즈의 불만족과 미착용자의 경우,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과 개선 후 착용 의향이 있다는 응답을 하였다.
    선호하는 앞치마는 주머니가 부착되고, 폭의 여유량이 많아 뒤를 절반이상 가릴 수 있는 디자인과, 여밈방법이 끈으로 묶는 형태를 선호하였다. 소재는 세탁견뢰도와 내구성이 좋은 면 혼방(T/C)에 문양이 없거나 기하학 문양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린, 브라운, 블랙의 어두운 계열의 컬러를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4종류의 앞치마 세트를 음식의 테마 별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번째 디자인은 한정식업 유니폼으로, 음식의 고유함을 더하는 전통한복의 목판 깃과 띠허리에 개더를 넣은 활동이 편한 원피스형 앞치마를, 두 번째 디자인은 일반 음식점의 유니폼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게 단추를 부착시켜 목뒤로 여밀 수 있는 홀터넥, 세 번째 디자인은 카페의 유니폼으로, 응답자의선호도가 가장 높은 허리끈 형태, 네 번째 디자인은국수를 판매하는 음식점의 유니폼으로 블랙의 심플한사각형의 앞치마를 디자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여타지역들의 문화자원 의 이미지를 활용한 다양한유니폼 디자인 개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21세기 유망산업인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의 발전에일조하길 기대해본다.

    영어초록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niform status of people in the restaurant business in Damyang, Jeollanam-do and try to suggest the uniform design using the image of Damyang culture resource based on this.
    The study method wa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their concepts and types as well as the cultural resources of Damyang, and the interview and the survey were conducted which targeted the people working at 30 restaurants. The fact finding range was limited to 30 restaurant places of the Damyang Jungnogwon and Gwanbangjerim forest that is the surrounding place of the 2015 World Bamboo EXPO.
    The study term was from Oct. 2 to Oct. 7 of 2015 and implemented interview and survey by directly visiting the restaurant and implemented the frequency analysis as the analysis method targeting on the final analysis of the 90 surveys. Based on this have set the uniform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as well as designing the uniform using the image of the Damyang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uniform illustration was suggested in schematization using the Adobe Illustrator CS 6와Adobe Photoshop CS 6 program.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is study, almost many of the people working at the restaurant wore the uniforms that did not include the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 of Damyang and were just wearing aprons that is at low price items and in case of unsatisfactory size and in case of people who did not wear, they replied that there needs to be the improvement as well as they have the will to wear after improvement is made.
    The preferred apron was with the pocket attached with extra space to cover at least half of the back and the form of tieing by strings. Preference of no pattern or geometry pattern on durable blended cotton(T/C) with good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could be found out that dark colors such as green, brown and black was preferred.
    Based on such result, 4 types of apron sets were suggested by the theme of the food.
    The first design was for the Korean Table d’hote which is the one-piece type apron with gathers on the block collar and belt band of the traditional hanbok made convenient for activity that adds the inheritance of the food, the second design was for the uniform of the general restaurant which is the halter neck that could be tightened by the back of the neck with buttons attached to control the size, the third design was the uniform of the cafe in the form of the belt form which had the highest preference of the repliers and the fourth design was the uniform of the restaurant that sells noodles designing the black simple apron of the square shape.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 value-added tourism industry which is the 21st promising industry by consistent study on the various uniform design development using the image of the cultural resources of other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