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랜트건설업의 노사관계 조정시스템 구축방안 -약자들의 상호의존성을 중심으로- (Coordinated System Building of Industrial Relations of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ter-Dependence of the Wea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7.06
31P 미리보기
플랜트건설업의 노사관계 조정시스템 구축방안 -약자들의 상호의존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관계연구 / 27권 / 2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임상훈, 우상범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산업의 파편화되고 비조정된 노사관계 시스템을 조정된 시스템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플랜트건설산업 사례를 통해 건설산업 노사관계시스템을 구성하는 도급제도, 고용제도, 교섭제도, 훈련제도 등의 하부 주요 제도의 특성과 운영 원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재 시스템에서 변화 주체가 누구인지, 변화의 근원은 어디인지, 그리고 변화의 방향은 어떻게 설정될지를 추정하였다.
    플랜트건설업에서 발주처와 원청 대기업이 지배적인 위치에 놓인 반면 하청 전문건설업체와 비정규직 노동자/노동조합이 약자의 지위에 있다. 그리고 현재 도급제도, 고용제도, 교섭제도, 훈련제도는 이들을 파편화시키면서 비조정된 노사관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의 플랜트건설 노사관계시스템 하에서 플랜트건설업의 약자들은 자신의 이해를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들은 상호의존성을 인식하고 정부 지원과 같은 공공재를 절실히 필요로 한다. 플랜트건설 노조는 노동자들의 숙련향상을 통해 고용안정성을 제고하고 교섭과 노조활동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사용자의 협력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사용자 역시 숙련공을 확보하고, 공사 기간 맞추기와 품질 제고를 위해 노조의 협력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전문건설업체의 경우 최저낙찰제와 적격심사제 폐지로 인해 발주처와 원청 대기업의 부담까지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노조와 정부의 협력이 더욱 절실하다. 한편, 정부 역시 노사 갈등으로 발생하는 대규모・장기적 파업을 줄여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경쟁력 있는 플랜트산업을 구축하기 위해 노조와 사용자의 협력과 이들에 대한 공공재 지원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노사의 상호의존성과 공공재 활용을 통해 노사관계 시스템의 주요 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플랜트건설업의 경쟁력 강화와 노사관계 안정화라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정규직, 원청기업, 기업별 노조와 기업별 교섭을 중심으로 노사관계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는 한국에서 비정규직, 하청기업, 초기업노조와 교섭이 이루어지는 플랜트건설업이라는 예외적 상황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노사관계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실제적인 제도변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plan to change from the fragmented and uncoordinated industrial relations system to coordinated one. Through plant construction industry case, we investigate the attributes and operating principles of the four sub-systems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of the industrial relationship of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 subcontract system, employment system, bargaining system, and training system. Also, we estimate the actors of change, the source of change and the direction of change in industrial relations systems.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ordering organization and main contract are in a dominant position, compared to the weak positions of the speciality constructors and temporary worker/trade union. Additionally, subcontract system, employment system, bargaining system, and training system change the industry into fragmented and uncoordinated industrial relations system.
    Under the industrial relations system of plant construction industry, the weak of the industry are unable to satisfy their interests. Finally, they recognize inter-dependence between them and desperately need public goods like support of the government. First, trade unions need employer’s cooperation and government’s support to stabilize worker’s employment and collective bargaining through enhancing worker’s skills, and to operate trade union well. Second, employer associations need the cooperation of trade unions and government’s help to secure a consistent pool of skilled workers, to meet the construction deadlines, and to increase quality. Especially, speciality constructors need the aid between government and trade unions because they have to carry out duties of ordering organization and the main contract since the abolition of lowest cost bid and qualification system. Third, the government recognizes cooperation of trade unions and employer associations to reduce social cost and build a competitiv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by minimizing massive and long-term strikes to arise from conflicts between employer and trade union and aid of public goods to support them.
    By changing the industrial relation system through inter-dependence between trade union and employer and public goods from government, a coordinated system can be constructed. System change should be actively promoted because it can lead to outcomes such as strengthening the plant industry’s competitiveness and stability of the industrial relations system.
    This paper gives two implications. First it expands subject of research of industrial relations because this paper deals with non-regular worker, sub contract, trade unions and collective bargaining above enterprise level through plant construct industry, compared to Korea’s industrial relations system that regular worker, main contract, and trade un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of enterprise level are developed. Second this research suggests a practical plan to change th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