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중국의 FTA체결에 대비한 중국 보험업법의 검토와 기초적 제안 (A Study on Chinese Insurance Business Law for Conclusion of FTA between Korea and Chin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2.11
34P 미리보기
한국과 중국의 FTA체결에 대비한 중국 보험업법의 검토와 기초적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3권 / 4호 / 289 ~ 322페이지
    · 저자명 : 이정표

    초록

    2004년 11월부터 시작된 한국과 중국의 FTA체결에 관한 논의는 2012년을 전환점으로 하여 본격적인 협상절차가 개시되었고, 양국가는 이에 대한 전략적 준비를 하고 있다.
    중국의 보험법제가 내국 보험회사와 외국보험회사에 적용될 법규범체계로 이원화 되어 있고, 금융업을 은행과 보험 및 기타 금융으로 전문화 하여 겸영금지(분업경영원칙, 겸업금지원칙)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에 따라 은행업과 보험업의 감독기관의 분화, 보험회사 지배구조의 간결성, 재보험의 강제, 보험회사의 보상능력의 담보, 영업범위 등에서 한국의 보험업법과 구별되는 점이 있다. 특히 외국보험회사의 중국내 진출에 대한 규범인 <외자보험(회사)조례>에서는 중국내 보험회사에 적용되는<보험법>보다 그 요건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 WTO 가입시에 제출한 양허안 및 <외자보험조례>에 의한 보험시장의 개방정도는 중국이 다른 국가들과 FTA를 체결하면서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체법적 비교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보험분야에 대한 FTA체결에 대한 전체적인 제안은 첫째, 중국의 체제적ㆍ법적 특수성과 관련하여 투명성제고를 강화시켜야 하고, 중국의 실체적 법규범의 범위와 효력요건을 객관화 하여야 한다. 둘째, 시장접근과 관련해서는 <외국보험조례> 수준 이상의 완화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내국민대우의 원칙을 십분 활용하여 보험영업시장의 판로개척과 확대, 사실상의 차별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설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분쟁해결절차를 잘 활용하여 경제적 역학관계를 잘 조절할 수 있는 변수로 삼아야 한다.

    영어초록

    Although there have been discussions about the Korea-China FTA since 2004, it is 2012 when the two nations began to work on the negotiation for the FTA. Given that China has made a comprehensive agreement with other countries, it is highly possible that South Korea will make a comprehensive agreement with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adopting a careful and step-by-step approach to the Korea-China FTA.


    China’s insurance legislation has its own characteristics, which differ from Korea’s one. Most of all, it make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domestic insurance companies and foreign insurance companies. Furthermore, China’s industrial policy is distinct from South Korea’s one in that it prohibits operating financial business in addition to other business. Also, China’s insurance law is different from Korea’s one in that it has specialized China Insurance Regulatory Commission, a simpler hierarchical structure of an insurance company, compulsory reinsurance, and collateral of the underwriting capacity by an insurance company.


    With respect to foreign insurance companies advancing into China, the law of ‘Regulation of the China on the Administration of Foreign-funded Insurance Companies’ has much stricter restrictions than the Chinese Insurance law which is applied to Chinese people. Although China has signed the FTA with other countries, this tendency to regulate foreign insurance companies stays unchanged.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that are applicative to the insurance area in the Korea-China FTA. First of all, transparency in the Chinese law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improved. The ranges of norm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force of the Chinese law also need to be objectified. Second, regarding marker access, relaxed regulations of the law of ‘foreign insurance company supervision ordinance’ are necessary. Finally, specific standards on discriminative actions of China to foreign insurance companies are needed.


    When China submitted the concessions to join the WTO, it set up relatively many restrictions to foreign insurance companies, and still, the law of ‘foreign insurance company supervision ordinance’ has not changed. At this point, South Korea needs to strategically approach the issues of the Korea-China F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