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랜트 건설업의 조정된 교섭에 관한 연구 - 광양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 Coordinated Bargaining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4.06
34P 미리보기
플랜트 건설업의 조정된 교섭에 관한 연구 - 광양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관계연구 / 24권 / 2호 / 75 ~ 108페이지
    · 저자명 : 우상범, 임상훈

    초록

    노사 간 갈등과 반목이 심했던 플랜트 건설업은 교섭이 안정화되면서 파업이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노사가 조정된 교섭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플랜트 건설업의 조정된 교섭을 다루는 데 광양지역 사례를 통해 교섭과정과 교섭결과에서 조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그 성과를 살펴보았다. 플랜트 건설업에는 산별노조에 대응할 전국단위 사용자 단체가 조직되지 않아 산별 중앙교섭이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광양지역에는 사용자 단체가 있어 산별노조 지역지부와 조정된 교섭을 체결하고 광양지역 교섭은 패턴세터 역할을 하여 그 결과가 전체 산별 차원으로 확산된다.
    광양지역 노사는 교섭과정에서 수직적 조정과 수평적 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수직적 조정을 살펴보면 노사는 조직 내부의 다양한 과정을 통해 교섭 전과 교섭 중에 기계 설치와 전기통신 등 분과별 이해 차이를 줄인다. 수평적 조정에서 노사는 교섭 전과 교섭 중에 노사 간 이해를 높이고 공공재를 형성한다. 노사는 교섭 후에도 노사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갈등을 줄이고자 노력한다. 수직적 조정과 수평적 조정에서는 공식적 교섭보다는 비공식적 교섭 방식이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사 교섭위원들이 작업현장에서 함께 일할 뿐만 아니라 지연 등 비공식적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섭결과를 분석해 보면, 노사는 임금과 비임금 부분에서 공공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의 경우, 노사는 기계 설치와 전기통신 직종 간 격차를 줄이면서 공동으로 임금을 인상시키는 연대임금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비임금 부분에서 노사는 노사공동훈련 사업과 같은 초기업 수준의 숙련체제를 형성하고, 건설현장의 산업안전을 향상시키며, 노사관계 안정화를 통해 파업을 감소시키고 교섭기간을 단축하고 있다. 이들 임금과 비임금 영역에서 형성된 공공재는 노조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며 플랜트 건설업에서 종사하는 조합원 및 비조합원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성과이다.
    본 연구는 직종 간 교섭체계 형성, 건설업 노사 갈등 해소 방안, 비정규직 노사관계 안정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industrial relations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The industry had suffered from high conflict and enmity between daily workers and employers, but their relations recently changed as strikes became shorter and weaker. Those changes implied that the industry became to adopt a coordinated industrial relations.
    This paper analyzed a coordinated bargaining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 case of bargaining in Gwangyang region was selected. Construction daily workers organized a regional labor union in 2000, and an employers association was set up in 2004. The union and the association has continued to negotiate over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and sign a collective agreement covered plant construction sites and daily workers in the whole Gwangyang region.
    During bargaining, the union and the employer association are engag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coordination. In vertical coordination, two organizations reduce conflicts between two main occupations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machine install and telecommunication. The two groups have different interests and expectations over bargaining. Both the union and the association face conflicts among their members and try to find a solution to resolve the conflicts. In horizontal coordination, the union and the employers association expose and share their internal conflicts and try to find an option to satisfy their bargaining objectives and relieve their internal conflicts at the same time. Informal bargaining between the union and the associ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inding the option. The members of the union negotiating committee and those of the employers bargaining committee have worked long together in the plant construction sites and they often belong to the same network of regions.
    These vertical coordination and horizontal coordination cause the two actors to produce collective goods that all daily workers and employers in the region get benefits. In wage agreements, union and employer raise wages and reduce wage differentials across occupations. In non-wage agreements, they introduce a system of skill formation and improve health and safety in the plant industry. These collective goods are not achieved by individual actors such as the union and the employers association but by joint efforts of the tw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