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재개발사업 의사소통의 합리성 (Communicative Rationality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7.03
32P 미리보기
도시재개발사업 의사소통의 합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부동산법학 / 21권 / 1호 / 67 ~ 98페이지
    · 저자명 : 송종철, 신동훈

    초록

    도시재개발사업은 이해관계자간 사업에 대한 이해 부족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심각한 갈등을 유발한다. 이 연구는 제주시 재정비촉진사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합리성 여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분석자료는 질적자료인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회의록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주시 재정비촉진사업이 해제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의사소통의 ⅰ)이해가능성, ⅱ)진실성, ⅲ)정당성, ⅳ)진리성, ⅴ)형평성, ⅵ)공정성을 분석틀로 삼았다.
    분석결과, ⅰ)의사소통의 이해가능성 측면에서 원도심의 역사성과 주민의 정체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전면개발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되었으며, 참여주체 간에 이해도 부족하였다. ⅱ)진실성 측면에서 공공기관은 지역 주민에게 사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의견 수렴에 진실하지 못했다. ⅲ)정당성 측면에서 보면, 개발주체는 지역 주민의 정체성을 무시하고 경제적 측면만 고려한 개발을 추진하였다. ⅳ)진리성 측면에서 공공기관은 주민에게 경제적 타당성이 없다는 사실과 개발방식의 문제를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 ⅴ)형평성 측면에서 사업주체간 이해관계가 복잡하여 주민과 자영업자의 의견이 무시되었다. ⅵ)공정성 측면에서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의사소통에서 배제되었다.
    도시재개발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고 사전에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참여주체간 소통으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참여주체간 의사소통은 합리성에 바탕을 두어야 하며, 참여주체간 공론의 장을 만들어 가도록 상호 배려를 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cause serious conflicts as the business progresses with lack of understanding and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ationality of communic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of urban renewal projects in the Jeju City .
    The analysis data were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and minute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Council.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 of the dismissal urban renewal projects in the Jeju City,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i)the comprehensibility of the communication, ii)sincerity, iii)the legitimacy, iv)the truthfulness, ⅴ)the equity and ⅵ)the fairness.
    As a result of analysis, i)In terms of the comprehensibility of communication, the project was carried out in a full development mode without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the center and the identity of the residents. ⅱ)In terms of sincerity, public institutions were not abl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opinions to local residents. ⅲ)In terms of legitimacy, the development body ignored the identity of local residents and pursued development considering only the economic aspect. ⅳ)In terms of truth, public institutions did not inform the residents of the fact that they had no economic feasibility and the problem of development method. ⅴ)In terms of equity,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and self-employed were ignored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interests between the Business entity. ⅵ)In terms of fairness,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class were excluded from communication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are carried out according to plan and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y communicating with participants in order to prevent conflicts in advance. In addition,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should be based on rationality and mutual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to create the public sphere among particip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