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폐텐트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Design Using Discarded Tent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3.06
20P 미리보기
폐텐트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23권 / 2호 / 145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혜선, 김혜연

    초록

    생태 수용력을 초과한 고도의 산업화와 무분별한 소비는 환경을 위협하고 지구의 자정 능력을 감퇴시켜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과 인류에 대한 책임을 직면하고 자원순환 차원의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를 통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패션디자인 방법을 제안함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은 업사이클링에 대한 문헌 연구 및 텐트의 조형성 탐구와 폐텐트 활용 업사이클링을 위한 시각자료를 통한 사례 분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 3벌의 작품을 제작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텐트의 기능적 구조를 디자인에 활용하여 새로운 조형성과 구조미를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해체한 텐트의 사다리꼴 등 예각의 조각들은 옷으로 재탄생되었을 때 경쾌함과 역동성을 표출하였다. 셋째, 해체한 텐트 조각 가장자리의 시접이 이미 마감처리가 되어 있는 부분을 옷의 가장자리로 배치하면 제작 시간을 절감할 수 있었다. 넷째, 텐트에 사용되는 원단은 옷으로 구성 시 기능적, 미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다섯째, 장식 봉제 기법은 옷에 심미성을 부가하는 역할뿐 아니라 길이와 품을 조절하는 기능을 더해 주었다. 여섯째, 텐트의 지퍼와 고리 등을 가변적 디테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폐텐트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이 자원의 순환을 도모하여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새로운 디자인 및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A high degree of industrialization and reckless consumption that exceed biocapacity are threatening the future of humanity by disrupting the environment and reducing the ability of the planet to regenerate itsel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fashion design method that may contribute to solving the social problems, in the face of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 and humanity, and examine upcycling fashion design in the dimension of resource circulation. In this study, cas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upcycling, exploration on formativeness of tents, and visual data for upcycling discarded tents, and a design method was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for producing 3 looks of 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new form and structural beauty were presented by utilizing the functional structure of the tent in the design. Second, lightness and dynamism were expressed when sharp-angled pieces such as the trapezoid of the dismantled tent were reborn as clothes. Third, the production time could be reduced by placing the part where the seam allowance of the dismantled tent piece had already been finished to the edge of the clothing. Fourth, fabrics used for tents could play a positive role both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when composed of clothes. Fifth, the decorative sewing technique not only added aesthetics to the clothes, but also added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and width. Sixth, the zippers and hooks of the tent could be used as variable details. In conclusion, this study had its implication in that it demonstrated upcycling fashion design using discarded tents can contribute to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by promoting the circulation of resources, proposing new designs and sty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