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퍼스의 기호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영화 ‘곡성’의 언캐니와 푼크툼의 특징 (An analysis of the uncanny and Punctum in the movie 'The Wailing' from Peirce's semiotic perspectiv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7.04
12P 미리보기
퍼스의 기호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영화 ‘곡성’의 언캐니와 푼크툼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59권 / 143 ~ 154페이지
    · 저자명 : 정근, 박상현

    초록

    본 연구는 퍼스의 기호학적 방법으로 나홍진 감독의 영화 ‘곡성’(2016)에 나타나는 언캐니와 푼크툼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영화 ‘곡성’의 돋보이는 특징은 완전하지 않은 서사와 열린 결말이다. 하지만 이런 특징은 관객들의 이해를 분산시킨다. 그러면서도 156분을 꽉 채우는 긴장감은 언캐니(Uncanny)의 작용이다. 무의식에 억압되어 낯설게 된 것이 되살아나 불안하게 만드는 언캐니는 영화 ‘곡성’에서 이미지의 기호작용에 기인한다. 기호를 읽을 수 있어야 만이 보다 더 완전한 서사를 읽을 수 있다. 따라서 기호의 역동적인 특성은 보는 사람들마다 다른 관점을 가지게 한다. 이런 다양한 관점은 관객이 자신의 경험에 의거하여 작가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자의적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푼크툼(Punctum)의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영화‘곡성’에서 푼크툼은 관객이 영화를 주관적으로 해석하는데 관건적인 역할을 하게 되고 영화의 열린 결말은 관객이 영화를 자의적으로 이해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영화 ‘곡성’의 언캐니와 푼크툼의 형성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미장센을 기호화 하는 과정에서 선택되는 이미지에 함축된 사회적 역사적 맥락이다. 이런 점들은 퍼스의 삼차적인 기호학과 관련이 있고 이에 따라 영화 곡성을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화에 등장하는 카메라와 훈도시는 지표로서 정체성, 금어초는 사건의 전말 또는 무명의 노력, 흰옷위에 걸친 군복은 민족의 반항을 상징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퍼스의 기호학적 방법론이 영화 ‘곡성’에도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canny and Punctum as displayed in director Hong-Jim Na's film 'The Wailing'.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The Wailing' are its incomplete narration and open conclusion. While such features decrease the audience's sense of understanding, the factor that maintains the tension and suspense gripping the audience for the duration of the 156-minute movie is the effect of the uncanny. The uncanny, which revives what has been rendered unfamiliar from being suppressed to the subconscience, thus effectuating a sense of nervousness, originates from the symbolic effect of images. One can comprehend the narration with greater clarity only with the knowledge of how to read such symbols. Furthermore, the dynamic nature of symbols causes them to elicit a different perspective for each individual; such diverse perspectives can also produce the Punctum effect, in which individuals understand and digest a work in accordance with his or her own experiences rather than the intentions of the produc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uncanny and the Punctum effect in 'The Wailing' are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implied by the image in the symbolization process of mise en scène, this study employs Peirce's three-stage semiotic approach.parThe results show that the camera and Hundosi in the movie symbolize identity as an index, the Snapdragon represents the full account of an incident or anonymous effort, and the military uniform draped over white clothing represents the defiance of the people. Further, the use of such symbols demonstrates that Peirce's semiotic methodology is also applicable to the area of fil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