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인 고정관념의 억제와 오기억: 목표점화(goal priming) 및 망각지시의 비교 (Stereotype Control and Memory Illusion: A Comparison between Goal Priming and Forget Instructio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1.05
18P 미리보기
노인 고정관념의 억제와 오기억: 목표점화(goal priming) 및 망각지시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5권 / 2호 / 17 ~ 34페이지
    · 저자명 : 신홍임, 김민식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평소의 부정적인 태도나 차별행동을 생각하게 하여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을 억제하는 목표로 암묵적으로 동기화하는 목표점화조건과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을 직접적으로 망각지시하는 조건에서 노인 고정관념에 대한 오기억(false memory)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활성화하기 위해 실험도입부에 독거노인에 대한 뉴스를 청취하게 한 후 어휘판단과제에서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의 단어에 대한 반응시간을 토대로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집단과 고정관념이 활성화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 후 목표점화 또는 망각지시의 조건에서 참가자들에게 노인에 대한 글을 읽도록 하고, Deese-Roediger-McDermott (DRM)의 패러다임을 토대로 재인과제를 실시하여 학습단계에서 제시되지 않은, 부정적인 고정관념 연관문장에 대한 오재인율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고정관념의 활성화, 지시유형 및 재인과제의 문장유형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고정관념이 활성화된 집단에서는 망각지시의 조건에서 부정적인 노인 고정관념에 대한 오재인율이 목표점화의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재인과제에서 노인고정관념과 연관된 문장에서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고정관념 억제에 대한 직접적인 망각지시가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더 많이 활성화시켜 오재인율을 높이는 데 비해 목표점화는 고정관념 억제를 암묵적으로 동기화시켜 고정관념이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고정관념 억제에 목표점화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다루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alse memory effects of goal priming and directed forgetting to control negative stereotypical informations about elderly adults. Participants, 22 male and 34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stened to a news about increasing rates of elderly citizens in Korea living alone. This was followed by a lexical decision task with stereotypical and nonstereotypical word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f aging stereotypes and to devide the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high or low stereotype activation. After that, the participants read articles about young and elderly people either under the condition of goal priming or under the condition of the forget instruction. Finally, a recognition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Deese-Roediger-McDermott (DRM) paradigm to compare effects of these two conditions for false memory about stereotypical and nonstereotypical item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high or low stereotype activ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lse recognition rates for stereotypical ite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igh activation group with the forget instruction than in this group of the goal priming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lse recognition rates for the nonstereotypical items. These findings supported our hypothesis, that the forget instruction activates negative stereotypical information, which resulted in the memory illusion and the disruption of stereotype control. In addition, the false recognition rates under the condition of goal priming were lower than under the condition of the forget instruction, which might be interpreted as evidence for effective stereotype control. Implications of the outcome for stereotype control a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