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머니 독자와 김만중의 소설 창작 (The Maternal Reader and Kim Man-jung's Novel Wri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9.02
32P 미리보기
어머니 독자와 김만중의 소설 창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40호 / 117 ~ 148페이지
    · 저자명 : 신재홍

    초록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윤 부인을 위해 소설을 창작했다는 것은 여러모로 음미할 만한 문제이다. 본고는 사대부가 여성 독자가 했던 가문 내적 역할과 관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어머니 독자’라는 개념으로써 그것에 접근하였다. 소설 창작의 사회 문화적 배경으로서 17세기 어머니 독자 현상을 논하고, 윤 부인의 독서인다운 면모를 드러내고,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서 어머니 독자를 고려한 면모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머니 독자의 존재는 17세기 사대부가에서 확인된다. 가모(家母)가 소설책을 읽고, 베끼고, 나누고, 빌리고, 보존하는 등의 역할을 하였다. 어머니 독자는 소설 독서를 함께한 여성뿐 아니라 가문의 대를 잇는 친인척 자녀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사대부가 아들이 어머니의 필적을 소중히 보관한 것은 소설 독서를 낙으로 삼은 어머니의 삶을 수용하는 의미가 있다.
    김만중의 어머니 윤 부인은 평생을 독서인으로 살았다. 그녀는 역사와 인물 이야기에 관심을 두었고 독서를 통해 인격을 닦았다. 김만중은 평소에 윤 부인의 독서 경력, 교양과 지식, 인격 등에 부응하는 한글 소설을 지었을 것이고, 유배지에서 지은 <구운몽>의 경우에는 어머니를 의식하여 높은 문학성과 깊이 있는 주제가 요구되었을 것이다.
    김만중의 소설 속에는 어머니 독자를 고려한 양상이 나타난다. <구운몽>은 남녀 결연의 배후에 어머니의 존재감이 드러나고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수준 높은 독서와 품평의 일상이 그려져 있다. <사씨남정기>는 여성의 덕성과 고난이 강조되었고 가문의 몰락과 회복이 앞뒤에서 상응하는 구성을 취하였다. 여기에는 가문 회복에 대한 작가의 염원과 함께 어머니와 여성의 삶에 대한 응원의 의미가 담겨 있다.
    사대부 작가의 소설 창작이 어머니 독자를 위한 효도의 일환으로 인식된 것은 소설 창작 및 향유에 일정한 명분을 얻은 것이다. 작가의 입장에서는 허구에 대한 흥미와 유교 이념의 제시 사이에서 폭넓은 창작의 영역을 확보한 것이기도 하다. 어머니 독자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사대부 작가가 소설을 통해 여성을 일방적으로 가르치기보다는 일정한 교양과 지식을 갖춘 고급의 여성 독자에게 그와 함께한 인생만큼 독서의 기억을 담아 소통의 읽을거리를 제공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17세기 어머니 독자의 사회 문화적 배경하에서 수준 높은 한글 장편 소설이 나올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re are many ways to study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Kim Man-jung wrote a novel for Mrs. Yoon in the exile. This paper approached it as a concept of 'maternal reader' considering the internal role in the family and relational features that the female reader had. As a socio-cultural background for novel writing, I discussed the phenomenon of maternal readers in the 17th century, revealed the aspect of Mrs. Yoon's reading, and examined the aspect of considering maternal readers in Guunmong and Sassinamjeonggi.
    The maternal readers appeared in some families of Sadaebu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female reader of the family read, copied, shared, borrowed, and preserved books of novel. These maternal readers influenced not only women who read novels together but also relatives of family members. The fact that the son of Sadaebu cherished his mother's handwritings has the meaning of accepting the life of his mother who made the novel reading a pleasure.
    Kim Man-jung's mother, Mrs. Yoon, lived her life as a reader. She was interested in history and character stories and cultivated her personality through reading. Kim Man-jung would have wrote Korean novels that could correspond to Mrs. Yoon's reading concern, culture, knowledge, and personality. In the case of Guunmong written on the exile, he would have been conscious of his mother and demanded high literary and in-depth themes.
    In Kim Man-jung's novel, there is a pattern considering the mother's reader. In Guunmong the presence of mother beh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s revealed, and the daily life of high-level reading and evaluation centered on mother has been depicted. In Sassinamjeonggi the virtues and hardships of women are emphasized, and the collapse and recovery of the family has been taken a corresponding composition between first and last part of the work. This is the meaning of the support for the life of mother and woman along with the desire of the writer for the restoration of his family.
    The writing of novels by the writer of Sadaebu was recognized as part of the filial piety for the maternal readers, and it became a certain cause for novel writing and enjoym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writer, it was also a wide range of creative areas between the interest in fiction and the presentation of Confucian ideolog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aternal readers, the writer intends to communicate with readers, providing them with a memory of reading from his life with a high-quality female reader, rather than teaching women unilaterally through novels. Under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maternal readers of the 17th century, high-quality Korean novels came into exist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