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文科 ‘끊어 읽기’ 授業 事例 硏究 (A Case Study on “Reading by Punctuating” in Sino-Korean Cla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09.06
52P 미리보기
漢文科 ‘끊어 읽기’ 授業 事例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32호 / 219 ~ 270페이지
    · 저자명 : 이명희

    초록

    끊어 읽기는 전통 한문 학습에서부터 현재까지 한문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연구자는 실제 중·고등학교 한문과 수업에서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과 인식이 어떠한가를 밝힘으로써 한문과에서의 끊어 읽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중학교 한문 교사 1명과 고등학교 한문 교사 1명의 수업 관찰과 심층 면담 자료, 기타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여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고, 이 과정에서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삼각측정법,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평가, 전문가에 의한 조언과 지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과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교사와 학생의 끊어 읽기에 관한 인식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교사의 한문 문장 수업에서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은 문장 제시에서부터 시작되는데, 문장에 현토나 문장 부호 등을 표기해 이를 문장 해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 이후 실제 문장 해석 과정에서는 문장을 의미 단위에 맞게 끊어 읽는 활동을 반복하였다. 수신호, ‘+’ 표시, 현토, 억양 조절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문장을 의미 단위로 끊어 읽을 수 있게 하고, 이를 문장 구조 파악 및 해석에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평가 과정에서도 문항에 현토와 문장 부호 등을 표기하여 학습자의 문장 독해 및 문제 풀이를 도와주고 있었다. 끊어 읽기에 관하여 교사는 학습자의 한문 해석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필수 과정으로, 학생은 자신에게 주어진 한문 문장의 해석을 돕는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끊어 읽기를 한문 해석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중ㆍ고등학교 한문 수업에서의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과 끊어 읽기에 관한 인식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 및 한문 문장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시행될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논의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영어초록

    Reading by punctuating in a sentence is a method that has been used from past till present in the Sino-Korean learning metho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ino-Korean sentences properly. This researcher aims to understand punctuating in the Sino-Korean class subject more profoundly by examining its concrete process and the recognition on it in the Sino-Korean class of present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observed lessons conducted by one middie school and one high school Sino-Korean teacher and analyzed data colla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literatures holistical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in this process, in order to secure the credibility of the data, triangulation, the evaluation of the study result by the research participant,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intellectual methods were used. Through this, it figured out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n the Sino-Korean class subject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it.
    The Sino-Korean class of the two teachers began by presenting sentences in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t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use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punctuation marks written along with the sentences. Later, in the actual process of interpreting sentences, students repeated the activities of reading sentences in meaningful units. With hand signals, ‘+’ marks,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intonation adjustment, the teachers induced their students to read sentences in meaningful units on their own and to use it when they tried to understand sentence structures or interpret sentences. In the evaluation process as well, the teachers presented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punctuation marks for each question so that it could help students read sentences and answer questions. The teachers regarded punctuating in a sentence as an essential process for learners to interpret Sino-Korean sentences flexibly while students recognized it as a useful method which supported them to interpret sentences given to them; therefore, it was shown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used punctuating in a sentence substantially when interpreting Sino-Korean sentence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n the actual middle and high schools Sino-Korean class and the recognition on it, provides practical data for improving learners’ ability to read Sino-Korean sentences and activating the class for Sino-Korean sentences, and presents foundational data for discussing the methods to carry out the revised Sino-Korean subject curriculum to be executed later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