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Soviet-Koreans in the Former Soviet Union after Liberation: Centered o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5.03
16P 미리보기
광복 이후 옛 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 분석: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6호 / 49 ~ 64페이지
    · 저자명 : 오현아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옛 소련에서 1939년 민족어 교육이 금지되고 1940년대 말 민족어 교육이 다시 부활되면서 1949년과 1952년에 출간된 옛 소련 고려인의 조선어 교육과정인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Ⅰ-Ⅳ학년(1952)를 중심으로 당시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옛 소련의 1938년 민족어 교육 금지 이후 1949년 민족어 교육이 부활하면서 당시 교육과정인 조선어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의 주요 내용인 ‘조선어 교수 세목’ 의 목표 및 영역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에서는 저자명인 ‘김병하’, 교열자명인 ‘마주르’가 제시되었으나 조선어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에서는 제시되지 않았을 뿐, 교수 시간 배정, 민족 소학교 각 과목별 연간 시수, 조선어교수 시간 배정 역시 동일하였다. 또한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49), 조선어 교수 강령 조선 소학교 Ⅰ-Ⅳ학년(1952) 모두 본문 36면으로 분량과 그 내용이 동일하였다. ‘제 일학년, 견학, 관찰 및 실험, 제 Ⅱ학년, 견학, 관찰과 실지 작업, 제 Ⅲ학년, 견학, 관찰 및 실제 작업, Ⅱ학년, Ⅲ학년’에서는 조선어 교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이는 내용을 다루고 있어 조선어교과가 통합 교과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역별로 ‘독법 > 문법과 정섯법 > 습자 > 언어의 발전(담화)’ 순의 비중을두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독법, 문법과 정섯법’에 대한 교육 내용이 전 학년에 걸쳐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복 이후 옛소련 고려인의 초등 조선어 교육과정의 특성으로는 ‘통합 교과’, ‘독법, 문법과 정섯법 강조’, ‘독법, 구술과 섯법언어의 발전 영역에서의 교수법 제시’를 꼽을 수 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모어교육사, 국어교육사 차원에서 한반도를 넘어선 재외 한인의 민족어 교육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귀한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사회통합 관점에서 한반도에 정착한 고려인의 한국 사회 적응 과정에서 이남 사람들의고려인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former Soviet Union, which was pub lished in 1949 and 1952,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52),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nalyze the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organization of the Soviet-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52), which were revived in 1949 after the Soviet Union banned national language education in 1938. In Chapter 3, I examine the main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52), including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categorized into 1) reading, 2) grammar and orthog raphy, and 3)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thor's name, Kim Byung-ha, and the instructor's name, Mazur, were pre 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1949), but not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and that the allocation of teaching hours, the number of hours per year for each subject in the ethnic elementary schools, and the allocation of teaching hours for Korean language were the same. In addition, both the 1949 and 1952 ver sion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Guidelines for Soviet-Korean Elementary School Grades I-IV” were iden tical in length and content, with 36 pages. “First grade, field trip, observation and experiment, second grade, field trip, observation and field work, third grade, field trip, observation and actual work, and second and third grades” deal with content that does not seem directly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dicating that the Korean lan guage cours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grated subject. It can be seen that each area has weight in the order of "reading> grammar and orthography> literacy> language development (discourse), and the educational content of "reading, grammar and orthography is emphasized throughout all grades. After lib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Soviet-Koryoin can be ‘integrated curriculum’, ‘emphasizing read ing, grammar, and orthography’, and ‘presenting teaching methods in the area of reading and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s’.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ethnic languag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mother tongue education, and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Korean people in South Korea in the process of Soviet-Koreans'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