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 본 가족의 성숙과 변화 (Changes and Growth amo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hild-Rearing Experiences of Mothers and Father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0.12
27P 미리보기
장애자녀 양육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 본 가족의 성숙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서·행동장애연구 / 26권 / 4호 / 137 ~ 163페이지
    · 저자명 : 이규옥, 한성희, 박혜준

    초록

    지금까지의 장애아 가족에 대한 연구들 가운데는 자녀의 장애로 인한 부모의 어려움에 집중한 나머지 장애아 가족의 긍정적인 경험보다는 부정적인 정서와 문제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지는 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장애아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이었던 경험과 그 의미를 끌어내어 장애아 부모들이 보다 행복한 삶을 살도록 하는데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아 부모들이 그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은 경험 중에서 긍정적인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그러한 경험들이 가족들의 삶을 어떻게 성숙시키고 변화시켰는지, 그리고 부모들 자신들의 삶에 부여하는 의미는 무엇이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하였다. 장애가 있는 자녀를 포함하여 최소한 둘 이상의 자녀를 10년 이상 양육하고 있는 세 쌍의 부부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3회기에 걸친 이들과의 일대일 면대면 면담(1회기에 60-90분 소요)은 Seidman(2006)의 심층면담 방식에 의해 진행되었다. 면담 녹음자료에서 전사된 자료, 필드노트, 치료사들과의 부모상담기록 자료를 van Manen(1997, 2006)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여 장애아 아버지들과 어머니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끌어내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장애아가 있는 3쌍의 부모들을 통해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부모들은 장애아를 양육하는 동안 가슴 아프거나 슬프고 답답한 순간들도 많았지만 자녀의 성장과 변화 과정을 지켜보면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욕심을 버리게 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모들이 욕심을 버리고 장애를 수용하고 나서 자녀를 바라보기 시작했을 때 비로소 생각지도 못한 행복과 기쁨을 느끼게 되었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 부모들이 그들이 겪는 고통이나 슬픔의 먹구름 사이사이에 환하게 비취는 햇살과 같은 행복과 기쁨을 누리도록 격려하는, 그리고 낙관적인 시각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방안에 대하여 장애아 관련 전문가들이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Most researches o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based on the hypothesis of their difficulties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chronic sorrow. However, many researchers began to focus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s well as children's positive contribution to family lives.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to understand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positively framed question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ories of three couples about their child-rearing experiences with emphasis on their positive experiences, how these experiences made them grow and change, and how they give meaning to their family liv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three parent pairs of mother and father with two children including one child with disabilities and one without disabilities, in addition, all of participants had at least 10 years of parenting both children. The researchers were interested in different perspectives of mothers and fathers about their parenting experiences of rearing both a child with disabilities and a typically developing child.
    Similarities and difference were found through three pairs of participating parents. They shared the hurtful feelings and sufferings throughout the years of their children's growth. But as time went by, their perspectives began to change slowly. They came to appreciate small achievement and found unexpected happiness and pleas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positive and optimistic viewpoints toward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서·행동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