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와 미얀마어 합성부사 대조 연구-반복 부사 조어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Myanmar Compound Adverbs for Myanmar Learners -Focusing on Repetitive Adverb Conjugation-)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4.06
16P 미리보기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와 미얀마어 합성부사 대조 연구-반복 부사 조어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6권 / 3호 / 819 ~ 834페이지
    · 저자명 : 띤 띤 투웨이

    초록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와 미얀마어 합성부사 대조 연구-반복 부사 조어법을 중심으로-

    띤 띤 투웨이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 합성부사의 단어 형성을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 양쪽 언어의 형태론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으로써 대조 분석 방법을 이용한다. 주요하게는 한국어의 역수 사전, 미얀마어 사전에서 나타나는 부사의 형태를 바탕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부사를 형태적 측면에서 대조 분석하고 그를 통해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는 미얀마인 학습자가 한국어 부사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참고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연구 방법에서 나온 학자들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부사에 대한 변화를 고찰할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구체적으로는 부사를 단순 부사와 복합부사로 크게 나누고, 거기에다 파생형 부사, 굴절형 부사, 반복의 부사, 합성부사, 한자 부사형, 외래어 부사로 나눈다. 양 언어 간 단일 부사에는 단음절이나 그 이상의 음절로 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미얀마어에 있는 단일 부사는 결합할 수 있는 동사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 한국어 부사와 차이점이다. 한국어 접미사에 의한 부사는 여러 가지의 품사로 바꾸었다. 이것은 미얀마어에서도 볼 수 있어서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유사점이라 할 수 있으며 접미사를 취하는 반복 부사 형성이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비슷한 점이다. 미얀마어와 한국어의 의태어, 의성어의 형식은 반복 복합부사 형태라서 이것은 양쪽 언어의 의태어, 의성어의 형성이 비슷하다. 미얀마어와 한국어 부사 형성의 형태론적 특징을 밝혀내어 교육하면 한국어를 습득하는 현지 사람들의 한국어 교육에도 어느 정도의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 그리고 나아가 미얀마 현지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한 참고 자료를 만드는 것에 있었으나,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단어, 단순, 반복, 음절, 접미사

    영어초록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MyanmarCompound Adverbs for Myanmar Learners-Focusing on Repetitive Adverb Conjugation-





    Tin Tin Htwe*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ist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by comparing the word formation of Korean and Burmese compound adverbs, with a focus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study uses a contrastive analysis method to reveal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both Korean and Burmese languages. Mainly,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forms of adverbs that appear in Korean reciprocal dictionaries and Burmese dictionaries. First, targeting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we aim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Burmese adverbs in terms of morphology and reveal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econd,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that can help Myanmar learners learn Korean adverbs. As a result, this study can examine changes in adverbs based on scholars’ perspectives us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Specifically, adverbs are broadly divided into simple adverbs and compound adverbs, and further divided into derived adverbs, inflectional adverbs, adverbs of repetition, compound adverbs, Chinese character adverbs, and foreign language adverbs. In both languages, single adverbs can be single-syllable or multi-syllable. Burmese and Korean adverbs differ in that they can only combine with a limited number of verbs. Korean suffixes transform adverbs into various parts of speech. Burmese also exhibits this, suggesting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Burmese, particularly in the creation of repetitive adverbs incorporating suffixes. The form of onomatopoeia and onomatopoeia in Burmese and Korean is a repetitive compound adverb, so the formation of onomatopoeia and onomatopoeia in both languages is similar. I believe that uncovering and teach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verb formation in Burmese and Korean will be of some help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local people learning Korea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create reference materials for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further,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yanmar. However, due to various constraints, a sufficient review was not possible. Therefore, we hope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ey Words: Words, Simples, Repetitions, Syllables, Suffixes









    □ 접수일: 2024년 6월 6일, 수정일: 2024년 6월 24일, 게재확정일: 2024년 6월 28일*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박사과정 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Kyung Hee Univ., Email: t.t.h.yuzana@gmail.c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