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드러난 메시지, 숨겨진 메시지 - 다문화 관련 공익 광고에서 보여지는 카메라와 조명, 사운드 기법 (Audiovisual Frames of Public Service Ad Focused on the camera technique, sound and lighting in multi.cultural public service a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6.11
30P 미리보기
드러난 메시지, 숨겨진 메시지 - 다문화 관련 공익 광고에서 보여지는 카메라와 조명, 사운드 기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광고홍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 18권 / 4호 / 354 ~ 383페이지
    · 저자명 : 김옥현, 김정선

    초록

    본 연구는 갈등, 공존, 화해의 이슈인 ‘다문화’가 공익 광고를 통해 어떻게 시청각적으로재현되고 있는가에 대해 프레임 이론을 통해 고찰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사운드, 조명 등의 영상 미학적인 요소가 다문화를 어떠한 방식으로 프레임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위계적 시선에 기반하여 차이를 강조하려는 프레임과 더불어 차이나갈등을 일순간 와해시키려는 프레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다문화를 다룬 공익 광고들은 대체로 우등한 주체가 열등한 타자를 보듬어 안아 더불어 살아간다는 메시지를즐겨 사용하였다. 이때, 타자(Otherness)인 다문화인은 거칠고 어두운 느낌을 만들어내는 패스트 풀 오프(fast full off) 조명, 피사체를 외소·무기력·수동적 인물로 묘사하는 하이 앵글(high angle) 카메라, 어눌한 목소리를 재현하는 목소리의 외피 등에 의해열등한 존재로 재현되고 있었다. 반면, 주체가 되는 한국인은 온화함·밝음의 느낌을만드는 슬로우 풀 오프(slow full off), 위압감·우월함을 보여 주는 로우 앵글(low angle) 등을 사용함으로써 주체와 타자 구분을 공고화했다. 공익 광고의 초중반에서 만들어 놓은 주체와 타자 간의 차이를 종반에 이르러 일순간 와해시킴으로써 주체와 타자를 사이좋게 ‘묶어 버리듯’ 보여 주고 있었다. 음의 높이에 큰 차이 없이 오르내리기를 반복하는경쾌하고 밝은 음악, 가장 한국적인 노래의 합창, 그리고 이야기의 바깥에서 울려 퍼지는, 신의 목소리라고 표현되는, 내레이션을 통해 이와 같은 프레임을 구축했다. 마치 ‘위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신의 목소리의 내레이션은 권위를 담아 공익 광고의 영상을 가득 채우며 주체와 타자의 갈등을 일시적으로 와해시키는 기제로 사용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multi.culture’, which is an issue of conflict,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is being reproduced audiovisually in public service ad through the frame theory. This paper focused on how the video aesthetic components such as camera, sound and lighting are framing multi.cultur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wo frames . ‘division’ and ‘resolution’. First off, the division between subject and other in multi.culture public service ad was being tactfully revealed upon being concealed by narrations such as ‘together’ and ‘no difference’. Other was being reproduced as inferior existence through fast full off lighting that creates rough and dark feel, high angle camera that depicts subject as a small, lethargic and passive figure, and outer layer of voice that reproduces inarticular voice.
    On the other hand, slow full off that creates warm and bright feel and low angle that shows overpowering feel and superiority were used for Koreans to solidify the division between subject and other. In addition, difference and conflict between subject and other were instantly disintegrated through ‘resolution’ frame. The resolution frame was established through cheerful and upbeat music that repeats up.and.down with no big difference in sound pitch, chorus of most Korean style song and narration commonly referred to as the voice of god. The voice of god narration of ‘as if looking down from above’ filled the image along with the authority that can judge a particular action as it was used as a mechanism of temporarily resolving the conflict between subject and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광고홍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