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 인식 조사: 한국어 어휘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International Student's Private Perceptions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ith an emphasis on Korean vocabular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8.12
18P 미리보기
학문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 인식 조사: 한국어 어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사교육연구 / 57권 / 4호 / 481 ~ 498페이지
    · 저자명 : 정연숙

    초록

    이 연구는 학부과정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유학생들의 편입학에 요구되는 한국어 능력과 학부에 개설된 한국어 수업이 유학생들의 학업 수행에 어떤 영향을 끼치며 유학생들은 학업을 수행하기 위한 한국어를 어떻게 학습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입학의 기준이 되는 토픽 등급과 언어교육원 수료 등급의 수준을 정리해 국어교육용 어휘 등급의 수준과 비교하였다. 이 비교를 통해 대학 입학 연령을 고려하였을 때 원어민의 어휘량과 외국인 유학생의 어휘량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어휘의 차이가 학습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중 결측치 등을 제외한 총 114부의 설문지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유학생들은 크게 한국어 점수 없이 입학한 경우와 토픽 등급 취득이나 언어교육원의 3・4급 수료로 대학에 입학한 경우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입학 전 취득한 한국어 능력이 대학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 학습자들에게 가장 어려운 것은 말하기(36.8%), 쓰기(34.2%), 듣기(14%), 읽기(6.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말하기와 쓰기가 어려운 이유 중 1위는 ‘단어의 사용 (그 단어를 언제, 어디에서 쓰는지 또는 같이 사용해야 하는 단어를 몰라서 등) 때문에’이었는데 모두 33명(28.9%)이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해당 단어의 의미를 모르는 것만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학습자는 의외로 16명(14%)이었다. 전공을 이해하고 과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것을 돕기 위한 한국어 보충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114명 중 62.3%(71명)가 ‘필요하다’와 ‘매우 필요하다’로 응답하였는데 이것은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의 개발뿐 만아니라 현재 학부의 한국어 수업을 학문목적의 사고도구어와 전공수업을 뒷받침해주는 수준의 수업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어휘로 인한 학업에의 어려움을 알아봄과 동시에 입학 당시의 한국어 능력이 입학 후 전공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조사하고자 하였으나 통계적 추정보다는 해당 데이터의 중심경향성만을 중심으로 연구를 정리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국인 학습자들이 대학에서의 학업에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와 학습 방법에 대한 정량적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는 데에 그 의의를 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language ability required for the transfer of foreign students and the Korean language classes offered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affec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y were lear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level of the topic class and the level of completion of the language education center, which are the standard of university entrance, and then compares it with the level of the vocabulary class for Korean native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comparison,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vocabulary of native speakers and the vocabulary of foreign students, given the age of university admissio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vocabulary differences on the learners. A total of 11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excluding the missing value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oreign student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entrance without Korean score, entrance into a university with a topic grade, or entrance into a university by the 3rd or 4th grade of Language Education Center, And it was found that it affected. The most difficult thing for the surveyed students was speaking (36.8%), writing (34.2%), listening (14% And reading (6.1%). One of the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speak and write was "because of the use of the word (when, where and when to use the word, or because I do not know the word to use)", 33 respondents (28.9%) said yes. Surprisingly, 16 learners (14%) had difficulty with one word. Of the total 114 respondents, 62.3% (71) responded that they needed and needed a supplementary lesson to understand their majors and solve the problems on their own.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lassroom should be reorganized into a class that supports the study of acculturation and major classes for academic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y of studying abroad due to the Korean vocabulary of foreig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ability at the time of admission on the major after ad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y of studying abroad due to the Korean vocabulary of foreign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ability at the time of admission on the study after entering the school.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 to summarizing the research centered on the central tendency of the data rather than the statistical estimation. However,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meaningful that foreign learners have difficulty in studying at university and quantitative figures of learning methods are obta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