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어시장 현황과 어시장 수산물의 유통 (The Status of Fish Market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 Distribution of Marine Products in Fish Market)

7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7.12
75P 미리보기
일제시기 어시장 현황과 어시장 수산물의 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5호 / 309 ~ 383페이지
    · 저자명 : 김승

    초록

    개항장을 중심으로 생겨난 어시장은 식민지시기 수산물의 유통구조에 많은 영향 미쳤다. 이에 식민지시기 어시장 연구는 근대적 수산물 유통체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관건이 된다. 기존의 어시장에 대한 개별 연구들을 통해 수산물 유통에서 어시장이 차지했던 중요성이 어느 정도 밝혀지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어시장 이외의 수산물 유통기관들과 비교가 부족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수산물 유통에서 어시장이 갖고 있었던 지위와 역할을 명확하게 부각시키지를 못했다.
    본 논문은 식민지시기 어시장의 지역별 실태와 시기별 변화, 특히 식민지시기 수산물의 전체적인 유통과정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어시장이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였는지, 또 수산물의 수이출에서 어시장이 차지했던 비중이 어느 정도였는가 하는 문제 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식민지시기 전체 수산물 유통에서 어시장이 차지했던 비중은 1928년 11.8%에서 1937년 6.5%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수산물 판매에서 어시장 비중이 감소했던 것은 어업조합과 전통시장에서 수산물 판매액이 증가했기 때문이었다. 한편 어시장의 수산물 판매에서 지역별 현황을 보면 항상 1위는 경남, 2위는 경기도였다. 이들 두 지역 어시장 수산물 판매액은 어시장 전체 판매액 가운데 56%~78%를 차지했다. 전국의 어시장에서 경남과 경기, 두 지역 어시장이 중심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부산어시장과 경성어시장의 역할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남과 경기 두 지역의 어시장은 수산물 유통과 판매에서 대조를 이루었다. 경기지역 어시장의 수산물은 거의 국내에서만 판매된 반면에, 경남지역 어시장 수산물은 국내 판매가 24%~44%에 불과했다. 그 외 56%~76% 수산물은 일본과 만주 등으로 수이출되고 있었다. 이는 전국 어시장 수산물의 국내외 유통에서 견인차 역할을 했던 곳이 경남지역 어시장이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영어초록

    Fish markets were developed around open ports, affecting distribution system of marine products while going through the colonial era. Therefore, the study for fish market during the colonial area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age for establishment of marine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in modern era. In the existing studies for fish markets by regions, it has revealed how fish markets were important for distribution of marine products. Still, the existing studies did not compare other bodies for distribution of marine products with the fish markets enough, so they did not clearly highlight the position and role of fish markets in the entire distribution system of marine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status by regions of fish markets during the colonial area, the entire distribution system of marine products during the era, and the feature and role of fish market in that system. Also, by further reviewing distribution in fish markets both to Korea and abroad, we'll find out how fish market were important in distribution of marine products during the colonial era.
    As a result, the sales volume of marine products in fish market has been increased from 11.8% in 1928 to 6.5% in 1937. The reason of this trend is that the sales volume of those in fisherman's union and traditional market has been increased. The sales volume of those in traditional market has been increased from 25% in 1928, in the distribution system, to 32.8% in 1937. This increase suggests double supply network, which was built in the colonial era, that fish market focused on fresh fish and traditional market focused on salted fish co-existed for a long time. So far, 1st rank of total sales volume of marine products in fish market is Gyeongnam, and 2nd rank is Gyeong-gi. They accounted for 56~78% of total sales volume of those. The reason why they became major roles in fish markets were Busan fish market and Gyeongseong fish market. Still, they were not the same in how to sell the products. The market in Gyeong-gi sold most of the products in Korea while the market in Gyeongnam sold about 24~44% of those in Korea and 56~76% in Japan and Manchuria. We can find out that Gyeongnam fish market played the critical role for distributing marine products both in Korea and abor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