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페인어권 공통어 명칭 사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use of common language names in Spanish-speaking countri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1.02
34P 미리보기
스페인어권 공통어 명칭 사용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남미연구 / 40권 / 1호 / 431 ~ 464페이지
    · 저자명 : 김우성

    초록

    현재 스페인과 중남미 국가들의 공통어를 나타내기 위해서 까스띠야어(castellano)와 스페인어(español)라는 두 가지 명칭이 사용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스페인어권에서 각국의 공용어 내지는 공통어를 지칭할 때는 이 두 명칭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국제적인 관례와 언어의 통합적인 면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스페인어라는 명칭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고, 언어와 무관하게 자신들이 속한 지역의 사회·정치적인 상황 혹은 전통적인 관습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에 대한 선호가 강하다. 이러한 두 가지 명칭의 사용은 스페인어권 국가들의 헌법에도 반영되어 스페인 및 남미의 많은 국가에서는 헌법의 공용어 관련 조항에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중미와 카리브 국가 헌법에는 스페인어라는 명칭이 쓰인다. 그러나 일상 언어에서는 멕시코,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 쿠바, 도미니카공화국, 푸에르토리코, 콜롬비아, 에콰도르, 우루과이에서 스페인어란 명칭의 사용이 우세하고,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 아르헨티나에서는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의 사용이 선호되며, 스페인, 베네수엘라, 칠레에서는 두 명칭에 대한 선호도가 비슷하다.
    스페인에서 두 가지 명칭이 선택되는 맥락과 중남미에서의 맥락은 다르다. 스페인에서 어느 명칭을 사용하느냐는 자신의 정치적 신념과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중남미에서는 두 개의 명칭이 상대방의 정치적, 이념적 성향과 무관하게 동의어로 사용된다. 특히 까스띠야어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지역에서는 그렇다. 이 지역에서는 인터넷 사용의 증가, 미국 문화의 영향, 나이, 사회계층, 교육수준, 교육기관에서의 언어 관련 과목의 명칭이 이 두 가지 명칭 중 하나를 선택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영어초록

    Currently, two names are used to denominate the common languages ​​of Spain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Spanish and Castilian. However, in reality, when referring to the official language of each country in the Spanish-speaking world, one of these two names should be chosen. Those who consider international customs and the integrative aspect of the language tend to prefer the term Spanish, and those who consider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r traditional customs of their countries, regardless of the language, show strong preference for the term “Castilian”.
    The use of these two names is also reflected in the constitutions of Spanish-speaking countries, and in Spain and many countries in South America, the term “Castilian” is used in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constitution, and the term “Spanish” is used in the constitutions of the Central American and Caribbean countries. However, in everyday language, the use of the term “Spanish” predominates in Mexico, Guatemala, El Salvador, Honduras, Nicaragua, Costa Rica, Panama, Cuba, Dominican Republic, Puerto Rico, Colombia, Ecuador, and Uruguay, the term “Castilian”, is preferred in Peru, Bolivia, Paraguay, and Argentina, and The preference for the two names are similar in Spain, Venezuela and Chile.
    The context in which the two names are chosen in Spain and in Latin America are different. In Spain, which name you use depends on your political beliefs and who your interlocutor is. However, in Latin America, the two names are used synonymously regardless of the other's political or ideological orientation.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in areas where the use of the term “Castilian” is predominant. In this region, the increasing use of the Internet, the influence of American culture, age, social class, educational level, and the name of official language-related subject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between these two na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남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후